21 세기(世紀) 를 대비하는 국어교육의 지향과 Task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6:27
본문
Download : 21세기를 대비하는 국어교육의 지향과 과제.hwp
(2) 도구 교과론의 재검토
국어교육을 두고 도구 교과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가 호된 비판을 받은 바도 있습니다.
또 우리가 쓰는 모든 글은 ‘서-본-결’의 세 단계를 기본 형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생각은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수사 유형일 따름이며, 우리 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이 文化(culture) 적 틀로 이미 있었고 지금도 통용됩니다. 이 文化론...






다.
인류의 文化(culture) 도 있겠고, 민족의 文化(culture) 도 있겠고, 언어는 文化(culture) 의 반영입니다. 그 비판은, 국어교육을 두고 말하는 도구론은 흔히 말하는 ‘단순한’ 도구론이 아닌 창조적 도구를 지칭하는 것이며, 외국에서도 언어는 사고력을 개발하는 도구라고까지 표현하므로 이해 부족이라는 지적이었습니다. ‘그런 식으로 말할 수 있어?’라는 표현이 가능한 것은 바로 文化(culture) 의 문제에 관련한 반론입니다. 이 文化(culture) 론이나 창의론을 다른 각도에서 해석하거나 의아해 할 것은 없습니다. 신문 기사나 방송 내용은 이런 文化(culture) 성을 바탕으로 分析되고 비판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해가 거기에까지 미치지 못한 점을 송구스럽게는 생각합니다만, 도구 교과라는 말을 굳이 표방하는 것은 적적하지 않다는 생각을 아직도 저는 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문화론... , 21세기를 대비하는 국어교육의 지향과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그러나 국어를 운용하는 규칙에 대한 것이 필요한 만큼이나 文化적 요소와 창의적 요소를 국어교육에 배려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 이런 것이 필요하고 또 중요한가는 앞에서 이미 충분히 시사되었다고 생각하기에 중언부언을 피하겠습니다. 저의 이해는 도구 교과를 표방해서 얻…(생략(省略))
그러나 국어를 운용하는 규칙에 대한 것이 필요한 만큼이나 문화적 요소와 창의적 요소를 국어교육에 배려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文化(culture) 성은 전통성과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다면,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간 데서 창의성이라는 개인적 特性(특성)이 발현됩니다. 문맥에 적합한 단어를 찾아 내는 문제도 정확성의 수준을 넘어서면 적절성과 효율성으로 발전하는데, 이 적절성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것이 文化(culture) 적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개개인이 다 우수한 창의력을 갖춘 것은 아닙니다만, 교육은 그런 능력을 기르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지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21 세기(世紀) 를 대비하는 국어교육의 지향과 Task
순서
설명
Download : 21세기를 대비하는 국어교육의 지향과 과제.hwp( 12 )
그러나 국어를 운용하는 규칙에 대한 것이 필요한 만큼이나 文化(culture) 적 요소와 창의적 요소를 국어교육에 배려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