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육 논쟁에 관한 일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07:48
본문
Download : 주·육 논쟁에 관한 일고.hwp
그리고 셋째는 1187년에 [태극도설]에 관해 논변하게 되었을 때, 글머리의 [무극이태극]에 대한 두 사람의 철학적 입장이 합치될 수 없음을 인정하였고 그에 따라 논쟁이 심화되었다.
주희와 육구연이 사상적인 견해차를 드러 낼 수 밖에 없었던 것은 마음(심)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 때문일것이다 주희는 심을 미발(드러나기 이전)심과 이발(드러난 이후의)심으로 나누어서, 미발심을 성, 이발심을 정이라 한다. 그가 주장하는 심은 본심이며, 도덕적인 이이며 우주의 근원으로써 도이다.주 , 주·육 논쟁에 관한 일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주·육 논쟁에 관한 일고.hwp( 36 )
Ⅰ. 서언
Ⅱ. 주·육 논쟁의 사상적 배경
Ⅲ. 주·육 논쟁
1. 태극도설
2. 무극 태극 논쟁
Ⅳ. 주·육의 학문적 차이
Ⅴ. 결론
Ⅱ. 주·륙 논쟁의 사상적 배경
주희와 육구연 사이에 학술 논쟁은 세 번 있었다. 앞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이들이 종신토록 opinion을 좁히지 못한 이유는 세계관의 차이에서 온 것이라고 하겠다. 조리의 조리, 이유의 이유로 소급한다면 유일한 원리가 있을 것이므로, 그것을 이일이라고 하고, 이러한 이가 개별화(주관화)될 때 성이되는 까닭에 성즉리라고 하였던 것이다. 여기서 심을 드러나기 이전과 드러난 이후로 구분 하는 것은 체용의 관계와 같다.
주·육 논쟁의 사상적 배경과 학문적 차이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사단은 곧 이 심이요, 천이 나에게 부여한 것은 곧 이 심이다.`라고 주장한다.
이 글은 철학적 의의를 가지면서 동시에 두 사람 사이에 가장 치열하였던 세 번째의 논변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주·육 논쟁의 사상적 배경과 학문적 차이에 마주향하여 작성했습니다. 그러므로 육구연은 미발심을 제외한 이발심만…(ski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주·육 논쟁에 관한 일고
주
다.
첫째는 주희와 육구연이 아호에서 만났을 때였는데, 각자가 종지(가르침의 근본 취지)를 거론하였을 때, 서로 달라 충돌이 생기게 되었고,
둘째는 조립지에 대한 묘지의 글 때문이었는데, 조립지가 원래는 육구연의 문하에 있다가 장남헌의 글을 읽은후, 주희의 문하로 개변한 관계로 주희가 쓴 조입지의 묘지의 글로 인해 사이가 악화되었다. 그리고 성즉리는 곧 천즉리에 근거하고 있따 따라서 주희는 심통성정이라 하여 마음(심)이 미발심과 이발심을 통괄하여 거느리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육구연의 마음(심)에 대한 입장을 다르다. 사람은 누구든지 이 심을 가졌으며 심은 이 이를 구비하였으므로 심즉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