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상사 - 원효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06:24
본문
Download : 한국 사상사 - 원효 -_1143905.hwp
결국 나는 한국의 승려들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가 누구인가 자문해 보았고 나의 대답은 원효였다. 하지만 project를 위해선 누군가 한 명만을 뽑아야 했다. 기왕에 서가 앞에 섰고 이제 조금씩 assignment준비를 해야 했으며, 그러려면 먼저 어떤 사상가를 선정해서 쓸 것인가를 결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기왕에 서가 앞에 섰고 이제 조금씩 과제준비를 해야 했으며, 그러려면 먼저 어떤 사상가를 선정해서 쓸 것인가를 결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불교사상가 중에서도 그 많은 승려들 중 누구를 다룰 것인가, 바로 이것이 문제였다. 의천이나 지눌이 뭐하던 사람인지는 모르는 사람이 많더라도 원효의 해골물에 얽힌 깨달음의 사연이나 요석공주와의 로맨스는 널리 알려져 왠만한 사람들은 원효의 이름 두 글자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사상사 수업에서 한국 사상가의 평전을 쓰라는 과제를 받고서 차차 하리라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어느날, 나는 도서관에 가서 한국 사상사를 다룬 책 중 몇 권을 뽑아들게 되었다. 예상은 했지만 책 속에는 누구나 알 만한 이, 이름정도는 들어본 듯한 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이들까지 우리나라의 사상가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삼국시대와 신라·고려조를 지나는 동안 의상이나 지눌, 의천같은 정말 많은 승려들이 한국불교를 발전시켜왔고 사실 내가 아는 승려들은 누구 하나 중요하지 않은 이가 없었기에 그들 중 누구를 선정할 것인가는 쉽지 않은 문제였다.)
이러한 이유로는 아마도 근대 이후 춘원 이광수의 『원효대사』의 influence(영향)이 크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도서관에서 찾은 한국 사상사책을 보며 나는 원효 평전을 써보리라 결심했다. 원효였다. 그러나 그들 중에서도 한 사람을 따로 뽑아야만 했기에 다시 한번 목차를 살피던 나는 목차의 거의 처음 부분에서 눈에 익은 이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Download : 한국 사상사 - 원효 -_1143905.hwp( 15 )
다. 이광수의 『원효대사』는 소설이기에 극적인 요소를 중요시하다 보니 사람들의 흥미를 끌만한 내용들에 어느 정도 초점을 맞추게 되었는데, 그런…(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사상사-원효-
한국 사상사 - 원효 -
한국사상사 수업에서 한국 사상가의 평전을 쓰라는 assignment를 받고서 차차 하리라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어느날, 나는 도서관에 가서 한국 사상사를 다룬 책 중 몇 권을 뽑아들게 되었다.한국사상사-원효- , 한국 사상사 - 원효 -인문사회레포트 ,
1. 들어가며
2. 원효, 그는 누구인가
3. 시대적 배경
4. 주요 사료
1) 고선사서당화상비
2) 분황사화쟁국사비
3)『송고승전』「원효전」
4)『화엄종조사회전(화엄연기)』
5) 『삼국유사』「원효불기」
5. 원효의 생애
6. 원효의 교화행(무애행)
7. 원효의 사상
1) 저술목록
2) 화쟁사상
3) 일심사상
4) 교판
8. 마치며
그렇기에 한국 사상사 수업에서도 불교는 매우 비중있게 다루어졌으며 재단이 불교인 대학에 다니면서도 불교에 대해 무지했던 나는 불교에 대해 좋든 싫든 알아야만 했다. 그러나 그들 중에서도 한 사람을 따로 뽑아야만 했기에 다시 한번 목차를 살피던 나는 목차의 거의 처음 부분에서 눈에 익은 이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침 한국 사상사 수업의 project는 중간과 기말을 합쳐 두 가지였고 중간기간의 project로 이미 유학분야의 인물인 정약용에 대해 썼던 나는, 기말의 project로는 불교의 인물을 쓰리라 생각해 오던 터였다. 원효였다. 예상은 했지만 책 속에는 누구나 알 만한 이, 이름정도는 들어본 듯한 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이들까지 우리나라의 사상가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2. 원효, 그는 누구인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여러 승려들 중에서도 굳이 세간의 지명도를 놓고 보자면 첫손가락에는 아마도 원효의 이름이 들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신이담으로 전해지는, 신묘한 행적과 자유로운 삶을 산 파계승으로의 원효의 모습을 제외하면 정작 원효의 사상이 어떠했는지, 그가 정확히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는 대부분의 경우 그리 잘 알고 있지 못하리라 여겨진다.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