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 서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2 09:14
본문
Download : 제주도와아이누의구비서사시비교연구서설.hwp
Download : 제주도와아이누의구비서사시비교연구서설.hwp( 21 )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 서설
순서
■ 비교신화학 연구의 방향 전환
1.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2.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연구 각도
3.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연구의 必要性
0. 비교신화학 연구의 방향 전환) 비교신화학의 성립 과정 ― 19세기에 마련, 비교신화학은 비교언어학에 기초한다. (1) 자연신화학 : 인도 유럽어족의 신화적 인물들이 이름은 다르지만 동일한 관념을 상징 하고 또한 동시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함 예) 인도 Agni : 불 라틴어 Ignis 리투아니아어 Ugnis 고대슬라브어 Ogni * 막스 뮐러 (Marx Miller) : 신은 자연 현상을 인간의 행위처럼 표현한 메타포에서 탄생 ① 신화 : 병든 사유의 산물 종교들에 와서 이식되어 종교를 왜곡시키는 기생적 존재 ② 종교 : 병든 사유가 지어낸 허구체계 건전한 도덕의 규칙들과 신학의 가르침에 부합되는 믿음 (2) 비교신화학 : * 뒤메질 (G. Dumezil) ① 신화 ; 문화적 사회적 실재로 파악 ② 독자적인 비교 방법 제시 << 3 구분 이데올로기>> << 3 기능 구조>>. 사제. 주술적 법률적 지배권 또는 성의 관리. 무사. 물리적인, 특히 무사의 힘 또는 방어 . 생산자, 목축경작인, 공인 . 편안하고 비옥한 풍요 또는 부 ③ 비판 : 3기능 구조는 적절한 신화 分析 단위가 될 수 없다 分析틀 자체가 보편적이다.) 비교신화학의 범주 (방향전환) (1) : 대상 범주가 이질적인 경우 공통점은 전혀 없고 차이점만 부각되는 instance(사례) *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연구는 여기에 해당 (2) : 신화 자체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 있는 비교 대상 범주 구조적 分析이 가장 중요한 접근 방식 기능 구조의 分析 방법은 이 범주를 인정하면서 싹튼 것 (3) : 비교의 범주가 다른 하나가 비교의 대상이 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관계 (4) : 하나의 대상이었는데, 특별한 계기에 의해서 달라진 경…(drop)
레포트/인문사회
■ 비교신화학 연구의 방향 전환, , 1.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 2.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연구 각도, , 3.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연구의 necessity , 내려받기 : 36K
설명
제주도,아이누,구비사시서,한국신화,아이누신화,인문사회,레포트
■ 비교신화학 연구의 방향 전환, , 1.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 2.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연구 각도, , 3.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연구의 필요성, FileSize : 36K ,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 서설인문사회레포트 , 제주도 아이누 구비사시서 한국신화 아이누신화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