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7 23:29
본문
Download : 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hwp
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 입니다.
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에 대해 정리한 레포트 입니다.」고 규정하고 있따 여기서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범위는 국회규칙, 대법원 규칙, 대통령령 또는 조례에 위임하고 있는 바, 그 구체적인 범위는 「체신부(정보통신부), 철도청 소속의 현업기관과 국립의료원의 작업현장에서 노무에 종사하는 기능직 공무원과 고용직 공무원 중 서무, 인사, 경리, 물품출납, 기밀업무 종사자, 노무자 감독사무 종사자, 보안업무 규정에 의한 보안목…(skip)
노동3권의제한
설명
,법학행정,레포트
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





순서
다.노동3권의제한 , 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hwp( 46 )
레포트/법학행정
1. 권리주체의 제한
2. 일반적 제한
3. 국가비상시의 긴급명령에 의한 예외적 제한
1. 권리주체의 제한
⑴ 공무원
가. 헌법상의 제한
「공무原因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고 함으로써 공무원의 노동3권에 대하여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따(헌법 §33 ②)
【참고】공무원의 노동3권 제한의 논거
① 국민전체의 봉사자, ② 공무원 처우改善을 위한 법률상·예산상 제약, ③ 직무의 공공성
나. 법률에 의한 제한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 및 지방공무원법 제58조 제1항에 의하면 「공무원은 노동운동 기타 공무 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적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은 예외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