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가계수지 및 물가동향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19:31
본문
Download : 근로자 가계수지 및 물가동향에 관하여.hwp
5분위계층의 소득증가에 비해 하위 1분위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높게 나타나, 소득5분위 배율은 5.32로 전년(5.49)보다 하락하여 소득분배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Ⅰ-3-①-5】소득5분위별 소득점유율
(단위:천원, 전년대비 %)
구 분Ⅰ분위Ⅱ분위Ⅲ분위Ⅳ분위Ⅴ분위소 득
(증 감 률)
(소 득 점 유 율)
(1분위 기준배율) 899.2
(10.3)
(7.5)
(1.00)1,512.8
(7.7)
(12.7)
(1.68)2,029.2
(7.6)
(17.0)
(2.27) 2,704.9
(6.4)
(22.7)
(3.01)4,786.3
(7.0)
(40.1)
(5.32)
data(자료):통계청, 『도시근로자 가구의 가계수지동향』
【표Ⅰ-3-①-6】소득5분위별 소득분포
구 분5분위별 소득계층의 소득점유율(%)배율
(Ⅴ/Ⅰ) GINI계수Ⅰ분위Ⅱ분위Ⅲ분위Ⅳ분위Ⅴ분위1998
1999
20037.4
7.3
7.512.8
12.6
12.717.1
16.9
17.022.9
22.9
22.739.8
40.2
40.15.41
5.49
5.320.316
0.320
0.317
data(자료):통계청, 『도시근로자 가구의 가계수지동향』
제 2 절 물가동향
1. 소비자물가지수
2003년도 연평균(average) 소비자물가는 2.3% 상승하였으며, ’65년 전국을 대상으로 물가조사가 시행된 이후 ’99년의 0.8%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낮은 상승률을 시현하였다. 근로자가계수지및물가동향에관하여 , 근로자 가계수지 및 물가동향에 관하여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근로자가계수지및물가동향에관하여
근로자 소득 경향, 소득 분배 경향 등 근로자 가계수지와 물가동향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Download : 근로자 가계수지 및 물가동향에 관하여.hwp( 55 )
,경영경제,레포트
다. 농산물 및 석유류…(투비컨티뉴드 )






순서
근로자 가계수지 및 물가동향에 관하여
근로자 소득 경향, 소득 분배 경향 등 근로자 가계수지와 물가동향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제 1 절 근로자 가계수지 동향
제 2 절 물가동향
5. 소득분배 동향
2003년 소득분배동향을 보면, GINI계수는 0.317로 전년(0.320)보다 0.003 줄어들어 소득분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연평균(average) 3% 이내에서 안정된 연도는 ’84년 2.4%, ’85년 2.3%, ’86년 2.8%, ’99년 0.8%, 2003년 2.3%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