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물리학으로 해석한 불교의 공가중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5:27
본문
Download : 현대물리학으로 해석한 불교의 공가중에.hwp
3. conclusion(결론)
(2) 특수상대성이론(理論)과 공가중
순서
Download : 현대물리학으로 해석한 불교의 공가중에.hwp( 13 )
설명
공은 모든 물질의 본체가 공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공관에 의하여 사물이 공한 자리에 보이는 현상은 그 모습 그대로 인연화합으로 존속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존속함’을 인정하고 그것을 ‘가짜로 있음’으로 본다.
(2) 불교의 물질관
1. 서론 (1) 공, 가, 중의 불교적 의미 (2) 불교의 물질관 2. 본론 (1) 양자역학의 물질관과 공가중 (2) 특수상대성이론과 공가중 (3) 빛의 이중성과 공가중 (4) 확률파와 공가중 3. 결론 (1) 불교와 현대물리학의 관계
불교의 물질관을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공, 가, 중의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고정된 주체가 없이 생멸하므로 실질적으로는 무아이나, 생멸하는 현재의 나가 머무르기 때문에 가짜의 있음이라고 하는 것이다. 모든 사물은 실체는 없고 다만 인연에 따라 성립될 뿐, 시시각각으로 변하고 있으며 인연이 다하면 흩어지기 때문에 잠정적이고 가변적인 성격을 가진다. 공과중은 네이버 지식백과에 다음과 같이 등재되어있다 ⟪공가중이란 온갖 것은 공무한 것이어서 한 물건도 실재한 것이 아니라는 공(空)과, 한 물건도 실재하지 않지만 모든 현상은 뚜렷하게 있으므로 가(假)와, 모든 법은 공도 아니고 유도 아니며 또 공이면서 유, 유이면서 공인 것인 중(中)을 말함. 이를 삼제 또는 삼체라 함.⟫그럼 불교에서 말하는 공, 가, 중, 삼제는 무엇일까?





(3) 빛의 이중성과 공가중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현대물리학,불교의 공가중
(1) 공, 가, 중의 불교적 의미
(4) 확률파와 공가중
2. 본론
(1) 공, 가, 중의 불교적 의미
다. 따라서 삼제는 3가지의 진리. 즉, 공과 가 그리고 중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다.’라고 observe하는 것이다.
현대물리학으로 해석한 불교의 공가중에 관해서
1. 서론
(1) 불교와 현대물리학의 관계
(1) 양자역학의 물질관과 공가중
삼제란 불교 천태종에서 제법실상(우주간의 모든 사물이 그대로 진실한 자태로 있는 일)을 밝히는 진리를 말한다.
가는 현실적으로 우리 앞에 보이고 존재하는 모습들을 ‘가짜로 있다’고 인정하는 것이다. 현상을 있는 그대로 observe하고 분석한 결과 모두가 잠시 인연 화합으로 나타난 현상일 뿐 영원불변하는 것이 아님을 아는 것이 공관이다. 삼제에서의 제(諦)란 진리를 뜻한다.’, 혹은 ‘변하지 않는 참모습이 아닐것이다. 밖으로 드러나 우리 눈에 보이는 일체의 현상은 영원불멸한 존재가 아닌 연기에 의하여 일시적인 모습으로 존재하다가 인연 화합이 흩어지면 사라지는 것으로, ‘실상이 아닐것이다. 즉, 공의 인식은 모든 현상은 인연소생이니 실체가 없는 무상을 아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