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가의 강호 인식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01:24
본문
Download : 사시가의 강호 인식에 관해.hwp
레포트/인문사회
1. 서 언
2. 사시가(사시가)와 강호
3. 사시가(사시가)의 강호 인식
1) <고산구곡가(고산구곡가)>의 경우
2) <산거사시(산거사시)>의 경우
4. 결 어
1. 서 언
사시가(사시가)란 일년(춘·하·추·동)이나 한달(삭·현·망·회) 또는 하루(단·주·모·야)의 생활을 사시순(사시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노래한 일련의 시가군을 일컫는다. 본고는 그 후속 작업의 하나로 사시가(사시가)의 내용 속에 그러한 열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특히 사시가(사시가)의 주된 향유 계층인 조선시대 사대부층의 작품에 드러난 강호인식 태도를 통해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런데, 사시가(사시가)에서 강호를 인식하는 태도는 크게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따 첫째 강호를 긍정적 현실 옹호 의식에 바탕을 둔 개방적(개방적) 휴식처(휴식처)로 …(skip)
설명
사시가의 강호 인식에 관해
사시가의 강호 인식에 관해
Download : 사시가의 강호 인식에 관해.hwp( 48 )
순서
사시가의 강호 인식에 관해사시가의강호인식에관한사례연구 , 사시가의 강호 인식에 관해인문사회레포트 ,
사시가의강호인식에관한사례연구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러나 실제의 사시가(사시가) 작품을 점검해 보면 그 중에서도 특히 춘·하·추·동(춘·하·추·동)의 일년 사시순에 따른 구성 방식을 가진 작품이 대부분이며, 연구대상도 자연히 일년 사시를 노래한 작품군으로 한정된다 이처럼 사시가(사시가)는 사시순(사시순)이라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성방식을 가졌다는 점에서 일단 월별(월별)이나 절일(절일) 위주의 구성방식을 가진 이른바 월령체가(월령체가) 및 세시가요(세시가요)라 지칭되는 시가군과 일치된 면모를 보이나, 주된 향유 계층이나 국문학 장르상의 작품 분포 상황 등에서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띠고 있음이 발견된다
이에 필자는 사시가(사시가)를 국문학상 별도의 한 시가 유형으로 묶어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그 동안 여러 문헌에 산재한 사시가(사시가)의 작품정리(arrangement)와 함께 인접 시가군의 관계, 형성 배경, 시상 전개(시상 전개) 등을 고찰한 논고를 몇 次例(차례) 발표한 바 있따 그 과정에서 필자는 사시가(사시가)가 우리 사회에 일찍부터 내재해왔던 사시순응관(사시순응관)을 바탕으로 성립되었으며, 사시순에 따른 순차적 순환성을 가진 시상 구조(시상 구조)를 통해 유한한 삶 속에서 무한을 추구하는 인간의 영원회귀 열망을 표출시키고 있는 시가 유형이라는 데에 주목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