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조의 북방정책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22:28
본문
Download : 세종조의 북방정책에 관한 고찰.hwp
5) 일만의 대군으로서는 미미한 전과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그들 본거지인 지리적인 원격관계와 이만주만을 토벌한다는 제한된 군사행동이 그들로 하여금 타부족으로 분장 도망하였기에 주력부대와 전투를 하지 못하였던 관계였다. 이것은 여진족들이 중국(中國)의 직점을 가졌으므로 명과의 관계를 염려하여 그 이상의 조치는 취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해를 거듭할수록 빈번이 또 대규모로 침관하였고 특히 파저강(파저강)-유역에 거주하는 건주여진의 관계가 험악해진 세종 14년 12월에는 평안도지방에 압록강의 결영을 이용하여 400여기의 침입을 입어 다수의 사상자와 인민 및 가휵을 당하였으나 방비군이 이를 격거하여 압록강변까지 추격하고 돌아왔다. 방위수단으로서는 도방의 강화와 장성(장성)의 축조를 들 수 있으며, 신영토의 충실을 위한 족책으로는 각 도(주로 경상. 전라. 충청)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강제적으로 실시된 주민입주와 여진족의 동화책을 들 수 있습니다. 최윤덕은 일만의 대군을 이끌고 이만주(이만주)의 거주지를 토벌 400여명의 남녀를 살해 혹은 생포하고 부락을 파괴한 후 돌아왔다. 이러한 북방정책에 관하여 논의한 글입니다. 이러한 질의에 황희 등은 여진족이 침입하였을 때 아국군이 그들을 추격하여 중국(中國)의 영토에 이른다 하여도 침략행위가 아니기 때문에 사대지의에는 어그러짐이 없다는 중론의 일치를 보게 되어 세종에 상언하였다.4)
세종은 이에 여진이 내급하였을 때 월경추격을 명령하였고 또 건주여진을 정복하여 그들의 침입을 종결시키고자 15년 2월에 박호문(박호문)등을 파저강 유역의 이만주에 파적하여 그들 침입의 진위와 부족의 대소, 산천의 험준과 도로의 속근(속근)등을 조사케 하고 이들의 귀속보고를 받은 다음 황희등과 밀의를 거듭하고, 평안도절제사 최윤덕(최윤덕)에게 북정을 명령하였다.
순서
Ⅰ. 서론
Ⅱ. 본론
Ⅲ. conclusion
Ⅰ. 서론
세종조에 있어서 여진족의 침관은 이미 원년전부터 처음 되었으나, 그것은 소규모의 병력이었고 따라서 그 침해도 대단치 않아 우려할 만한 사태까지는 진전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북정은 중대한 의의를 갖는 것으로 이를 계기로 소속이 애매하였던 압록강 상류지방과 두만강 유역까지 점차 개척하려는 결의를 보였으니 평안도에 자성군(자성군)의 신…(drop)
세종조의 북방정책에 관한 고찰
Download : 세종조의 북방정책에 관한 고찰.hwp( 16 )
북방의 중요성의 인식이 소극적인 방어만을 위주호 하는 정책으로부터 양차에 걸친 대대적인 정복을 실행하고, 압록강 상류지방과 두만강변에 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이 확보된 신영토의 방위와 그 충실을 위한 여러가지 족책을 베풀었습니다.세종조世宗朝의북방정책에관한고찰 , 세종조의 북방정책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세종조世宗朝의북방정책에관한고찰
다.
북방의 중요성의 인식이 소극적인 방어만을 위주호 하는 정책으로부터 양차에 걸친 대대적인 정복을 실행하고, 압록강 상류지방과 두만강변에 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이 확보된 신영토의 방위와 그 충실을 위한 여러가지 족책을 베풀었습니다. 이러한 북방정책에 관하여 논의한 글입니다. 3)
그리하여 세종은 일대결심을 하고 초경추격에 대한 질의를 영의정 황희 이하 제군을 모집하여 묻게 되었다. 방위수단으로서는 도방의 강화와 장성(장성)의 축조를 들 수 있으며, 신영토의 충실을 위한 족책으로는 각 도(주로 경상. 전라. 충청)에서 여러 순서에 걸쳐 강제적으로 실시된 주민입주와 여진족의 동화책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