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섹슈얼리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0 20:53
본문
Download : 김영하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섹슈얼리티_1143176.hwp
특히 그녀의 아버지는 목사로서 이러한 욕망 억압의 대표적 인물이다. 어느새 성기는 직사각형의 나무 조각으로 변해버린다. 입이 아파온다. 나는 입 속에서 간신히 성기를 빼낸다. 성욕은 인간이 지닌 가장 기본적 본능이며 또한 욕구이다. 반대로 주인공이 꿈을 꿀 때면 어김없이 도마뱀은 살아 움직이면서 주인공에게 서서히 다가가서 그녀의 성욕을 자극한다. 십자가의 등장…(투비컨티뉴드 )
설명






다. 교회의 주일학교에서 목사의 딸인 나는 동년배 남자애의 성기를 만지고 있다아 그의 바지를 내려 천천히 바라보다가 그의 성기를 입에 물고 싶어한다. 그 아버지가 믿는 종교의 상징으로 십자가가 등장한다. 꿈은 프로이트가 언급한 대표적 무의식의 공간이며 따라서 원초적인 본능이 무한히 표출될 수 있는 공간으로 묘사된다 그리하여 꿈속에서 주인공의 방은 원초적 본능인 수면을 위한 침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열대우림의 공간으로 변하고 원시적 음색인 타악기 소리가 울려 퍼질 수 있는 것이다. 어린 내가 벌거벗은 아담과 이브를 보며 사타구니를 마지고 있다아 쾌감이 밀려온다. 장면이 바뀐다. 짧은 치마를 입고 머리에 리본을 두르고 누워있다아 도마뱀이 나에게 영상을 펼쳐준다. 도마뱀은 이렇게 원시적 공간에서 원초적 본능과 욕구를 자극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아
나는 갑자기 어려진다. (중략) 내 입속에서 성기는 점점더 딱딱해진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김영하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섹슈얼리티_1143176.hwp( 53 )
,인문사회,레포트
김영하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섹슈얼리티
순서
김영하의작품에나타난죽음과섹슈얼리티 , 김영하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섹슈얼리티인문사회레포트 ,
김영하의작품에나타난죽음과섹슈얼리티
I. I. I. 서론
1. 작가와 작품紹介
2. 연구 의의
Ⅱ. 본론
1. 죽음과 섹슈얼리티의 관계
2. 패티시즘, 나르시시즘으로의 확장
Ⅲ. 결론
Ⅳ. 서지사항
도마뱀은 앞서 언급했던 인간의 모든 욕망을 상징한다고 생각된다 주인공이 꿈에서 완전히 깨어나기 전에는 도마뱀이 그 자리에 없었다고 생각하지만 어떠한 계기(전화를 받는다든가 도리질을 하는 등의 계기)로 완전히 꿈에서 깨어나면 도마뱀이 그 자리에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되는데, 벽에 걸려서 꼼짝도 않고 있는 도마뱀은 욕망의 억압을 상징한다. 남자애의 성기가 갑자기 커진다. 그의 성기는 네온사인 십자가가 되어 있다아(〈도마뱀 김영하, 「도마뱀」, 『호출』, 문학동네, 2004, 20쪽
〉)
이렇게 꿈속의 그녀는 현실에서 목사의 딸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던 모든 욕망을 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