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特性)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05:46
본문
Download : 고려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hwp
Download : 고려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hwp( 20 )
다. 사설 가운데 ‘아소 님하’, ‘아으’등은 엄격한 의미의 후렴은 아니나 후렴의 구실을 하고 있고,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딩아돌아’,…(省略)
레포트/인문사회






고려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特性)을 알아보는 글로 한림별곡이라는 작품을 예로 들어 설명했습니다.고려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는 글로 한림별곡이라는 작품을 예로 들어 설명했습니다.
1) 전통적인 음수율과 분절성
우리의 전통적인 음수율에 가까운 3.3조(서경별곡), 3.3.2조(청산별곡), 3.4~ 4.4조(만전춘 등)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우리의 성정에 알맞은 율로 알게 모르게 고정되었음을 의미한다. 체념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뛰어난 서정성을 지녔음이 이 속요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 할 만하다. 귀족층의 가요인 경기체가가 형식적이고 음풍영월식(吟風詠月式)인 데 비하여 그 내용이 매우 함축적인 데에 속요의 서정성이 있다아
3. 고려속요의 형식상 특징
속요의 형식에 대한 논의는 일정한 형식의 틀을 갖지 않는 자유로운 고려속요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아 ‘정형이면서 비정형’이라든지, 심지어는 ‘자유형’이라고까지 할 정도로 고려속요는 개별 작품마다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려속요는 그 형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4가지 특징을 가진다. 시조와 가사에서와 같은 엄격한 율조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불렸다는 점이 그 특징이며, 분절성을 전형적으로 지니고 있음도 한 특징으로 되어 있다아
2) 후렴구
행과 행 사이에 후렴을 삽입함으로써 한층 흥을 돋우는 맛을 주기도 한다.병일☆향가별곡론☆ , 고려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인문사회레포트 ,
병일☆향가별곡론☆
설명
고려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特性)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 고려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特性 >
1. 고려속요의 개요
2. 고려속요의 내용상 특징
3. 고려속요의 형식상 특징
1) 전통적인 음수율과 분절성
2) 후렴구
3) 변모와 섞임
4) 함축성
4. 고려속요의 주제 상의 특징
1) 자아의 상실감
2)이별의 정감
3) 생의 유희
5. 고려속요의 문학적 의의
< 경기체가에 대한 전반적인 特性 >
1. 경기체가의 定義(정이)
2. 경기체가의 형성 과정
1) 文化(문화)적 배경
2) history적 배경
3. 경기체가의 형식
4. 경기체가의 내용
1) 풍류적 내용
2) 송도적 내용
3) 도덕적 내용
4) 불교적 내용
5. 경기체가의 한계
6. 경기체가의 의의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차이점 >
2. 고려속요의 내용상 특징
경기체가가 한문에 의존한 관념적인 언어의 유희에 빠진 듯한 느낌을 주며, 대체로 사물이나 경치를 나열 서술하였음에 대하여, 속요는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이 표현되어 있다아 이 허식 없는 소박하고 진솔한 내용은 그만큼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서, 문자가 없던 시대라 하더라도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져, 문자로 정착될 때까지의 숱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아 속요의 내용은 다분히 체념적이고 해학적인 데가 있는가 하면, 세속을 초탈한 人生관이 담긴 선적(禪的)인 관조가 그대로 나타나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