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서 택리지 동국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08:28
본문
Download : 우서 택리지 동국지도.hwp
높게는 성현(聖賢)이요, 낮게는 망중(望重)한 길사(吉士)라야 사군자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은 문벌 좋은 집의 자제를 항상 사대부로 가리…(투비컨티뉴드 )
설명
,법학행정,레포트
다. 저자는 신분제를 폐지하고 사농공상의 4민을 계급이 아닌 전문화된 분업으로 발전시켜야만 부국안민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우서택리지동국지도 , 우서 택리지 동국지도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우서 택리지 동국지도.hwp( 24 )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문답체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그 구성은 체계정연한 논문양식을 이루고 있으며, 체재는 책머리에 먼저 총목록이 있고, 권1에는 서론에 해당되는 <기논찬본지 記論贊本旨>·<논동속 論東俗>·<논여제 論麗制>·<논본조정폐 論本朝政幣>·<논비국 論備局>·<총론사민 總論四民>이 실려 있다아 각론에 해당되는 권2~10은 69조목으로 권2에 문벌·학교·과거 ·문음(門蔭) 등, 권3~5는 관제문제, 권6은 호구·전정(田政)·요역(徭役)·화전 등, 권7은 대동법·진휼(賑恤)·노비공(奴婢貢)·상마(桑麻)·관청경비·향리, 권8은 화폐유통·어염선세·철광·상업, 권9는 군제·한민(閑民)·속오(束伍)·마정(馬政)·외관송영비(外官送迎費), 권10에 서원·승려·공장 등의 문제를 다루었고, 권10의 끝부분에 conclusion 에 해당하는 <논변통규제이해 論變通規制利害>·<총론법도가행여부 摠論法度可行與否>가 실려 있다아
서론인 <총론사민>에서 조선사회의 제도와 현실을 밝힌 뒤, 그 기반 위에서 부국안민책을 모색했다.
우서 택리지 동국지도
우서택리지동국지도
우서 택리지 동국지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글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은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니 참으로 탄식할 일이다. 이른바 사대부란 사군자(士君子)의 다른 칭호이다.
우서 택리지 동국지도에 관련되어 설명(explanation)하는 글입니다. 이를 위해 각론에서 신분제의 타파를 위한 방법을 ‘논문벌지폐’ (論門閥之弊)【문】: 그대의 논설은 국가가 사대부(士大夫)를 대우해 쓰는 것이 부당하다는 말인가.
【답】: 사대부를 어찌 쓰지 않을 수 있겠는가.
【문】: 그대는 이미 문벌의 폐해를 깊이 공박하고서 다시 사대부를 등용하지 않을 수 없다 하니, 그것은 모순이 아닌가.
【답】: 그대는 문벌이 곧 사대부인 줄로 아는데 어찌 그렇게도 고루(固陋)한가. 사대부란 세 글자는 그 관계됨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