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에 관한 theory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21:11
본문
Download : 민법상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에 관한 이론 검토.hwp
이것이 「자연적 해석」이며, 제2차적으로 규범적 해석과 보충적 해석에 의하여 「있는 의사」 즉 내심의 effect의사가 아니라 「있어야 할 의사」 즉 표시상의 effect의사를 추구해야 하는 수가 많은데, 이는 사적자치의 다른 한 면인 책임의 원리가 적용되는 effect이라고 한다(이영준 259면).
1) 자연적 해석
표의자의 실제의 의사, 즉 내심의 effect의사를 밝히는 것을 말한다.민법상법률행위의해석의대상에관한이론검토 , 민법상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에 관한 이론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민법상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에 관한 이론 검토.hwp( 11 )
설명
민법상법률행위의해석의대상에관한theory 검토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다. 이는 표의자의 시각에서 행해지는 해석이며, 표의자의 내심의 의사를 밝히는 데에는 표시행위뿐만 아니라 그밖에 존재하는 모든 사정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판례도 「계약의 해석은 그 계약서의 문구에 구애될 것이 아니라 그 문언의 취지에 따름과 동시에 논리칙과 경험률에 따라 당사자의 진의를 탐구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이라고 하여 자연적 해석의 necessity 을 인정한다고 한다(대판 65.9.28. 65다1519).
2) 규범적 해석
내심적 effect의사와 표시행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대방의 시각에서 표시행위에 따라 법률행위의 내용을 정하는 해석방…(투비컨티뉴드 )
레포트/법학행정
민법상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에 관한 theory 검토
민법상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였습니다.
민법상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에 관한 theory 을 연구하였습니다.



1. 표시주의에 기운 절충주의의 입장(통설 판례)
2. 신의사주의의 입장
3. 오표시 무해의 원칙
2. 신의사주의의 입장
사적자치의 원칙은 자기결definition 원리이므로 법률행위해석은 제1차적으로 내심적 effect의사의 확정으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