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 포도 · 잎사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4:13
본문
Download : 달 · 포도 · 잎사귀.hwp
장만영의 초기 시세계를 대변하는 작품으로서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또 다른 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따 모더니즘의 도시문명 비판이 일반 성향에 머물지 않고 이미지즘계 모더니즘의 심상(이미지) 표현의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전통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포도와 가을 달빛이 조화를 이루고 있음)
제 5연 : 달빛에 젖은 포도의 잎새들 - 이 같은 풍경 속에 `순이`를 또 한번 부른다. 이로써 더욱 감미롭고 호젓한 분위기가 되었다. `밀물처럼`에서 달빛은 더욱 더 선명한 시각적 심상을 띤다.
분위기 : 안온하고 호젓함
어조 : 따뜻하면서도 차분함
미적 특징 : 우아미(優雅美)
심상 : 시각적(색채적). 후각적. 비유적 심상
시어 : 여성적, 평화 지향적이며 내포성이 풍부한 말들(순이, 달, 바다, 호수, 조개, 별, 봄비, 양 등)
소재 : 달밤
제재 : 달밤의 뜰(정원)
구성 :
제 1연 : 달밤의 고풍한 뜰 - `순이`를 부름으로써 더욱더 `친근하고 부드러운` 가을밤의 분위기를 만든다.
제 2연 : 달의 맵시와 분위기 - `과일보다 향그럽다`라는 표현에서 달은 후각적 감각으로 신선함으로 살아난다.
제 3연 : 가을밤의 색조 - 전체적 상황을 선명, 간결하게 제시하기 위해 단어를 짧게 끊어 표현(동해의 푸름과 같은 가을 밤)
제 4연 : 달빛에 익는 고운 포도 - 시각이 한층 좁아져, `포도`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김용직은 `<달·포도·잎사귀>는 장만영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이다. 동양화의 수묵색 풍경이 생각나면서 또 한국 모더니즘의 시가 가지는 감각…(투비컨티뉴드 )
,의약보건,레포트
달 · 포도 · 잎사귀
jangmanyoung22
Download : 달 · 포도 · 잎사귀.hwp( 77 )




레포트/의약보건
다.
주제 : 뜰에서 맞이하는 달밤의 감각미와 아름다운 서정
출전 : <시건설>창간호(1936)
작품 해설
<달·포도·잎사귀>는 <시건설>지 창간호(1936. 12. )에 실린 작품이다.
jangmanyoung22 , 달 · 포도 · 잎사귀의약보건레포트 ,
설명
순서
형태 : 규칙형. ‘푸른/가을/밤’의 배치를 제외하면 1연을 2줄씩으로 하여 안정된 시 형식으로 이루어진 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