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 (文化 상대주의적 입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09:32
본문
Download : 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 (문화 상대주의적 입장).hwp
공자도 개고기를 먹었다고 하며, 개고기를 먹는 풍습은 주나라와 춘추시대를 거쳐 한나라에까지 활발하였으나 명, 청대에는 충견이라는 concept(개념)에 밀려 점차 그러한 풍습은 사라져 갔다.보신탕 , 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 (문화 상대주의적 입장)인문사회레포트 ,
다.
우리의 개고기 식용의 history(역사) 는 고구려 벽화에 등장하는 개잡는 장면을 미루어 최초의 history(역사) 적인 근거로 추측할 수 있고, 고려시대에는 구워서 먹는 습속이 유행했다고 한다. 2. 개고기 문화의 history(역사)
개가 가축으로 길들여진 것이 신석기시대로 추정되니, 개식용의 history(역사) 는 오래되었다. <논어>에는 제사에 개고기를 쓴다는 기록이 있고, <소학>에는 제사와 손님 접대에 군자는 소를 쓰고, 대부는 양, 선비는 개를 쓴다는 기록이 있따
이처럼 China 한나라 이전에는 개도살 전문직이 있을 정도로 개고기를 많이 먹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중종31년 김안로가 개고기를 좋아하여 아첨배들이 개고기를 뇌물로 바치고 벼슬을 얻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따
이조시대 홍석모의 <동국세시기>에는 `개를 삶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것을 구장이라고 하며, 여기에 죽순을 …(투비컨티뉴드 )
설명
순서
%20%EB%AC%B8%EC%A0%9C%EC%97%90%20%EA%B4%80%ED%95%9C%20%EB%82%98%EC%9D%98%20%EC%83%9D%EA%B0%81%20(%EB%AC%B8%ED%99%94%20%EC%83%81%EB%8C%80%EC%A3%BC%EC%9D%98%EC%A0%81%20%EC%9E%85%EC%9E%A5)_hwp_01.gif)
%20%EB%AC%B8%EC%A0%9C%EC%97%90%20%EA%B4%80%ED%95%9C%20%EB%82%98%EC%9D%98%20%EC%83%9D%EA%B0%81%20(%EB%AC%B8%ED%99%94%20%EC%83%81%EB%8C%80%EC%A3%BC%EC%9D%98%EC%A0%81%20%EC%9E%85%EC%9E%A5)_hwp_02.gif)
%20%EB%AC%B8%EC%A0%9C%EC%97%90%20%EA%B4%80%ED%95%9C%20%EB%82%98%EC%9D%98%20%EC%83%9D%EA%B0%81%20(%EB%AC%B8%ED%99%94%20%EC%83%81%EB%8C%80%EC%A3%BC%EC%9D%98%EC%A0%81%20%EC%9E%85%EC%9E%A5)_hwp_03.gif)
%20%EB%AC%B8%EC%A0%9C%EC%97%90%20%EA%B4%80%ED%95%9C%20%EB%82%98%EC%9D%98%20%EC%83%9D%EA%B0%81%20(%EB%AC%B8%ED%99%94%20%EC%83%81%EB%8C%80%EC%A3%BC%EC%9D%98%EC%A0%81%20%EC%9E%85%EC%9E%A5)_hwp_04.gif)
%20%EB%AC%B8%EC%A0%9C%EC%97%90%20%EA%B4%80%ED%95%9C%20%EB%82%98%EC%9D%98%20%EC%83%9D%EA%B0%81%20(%EB%AC%B8%ED%99%94%20%EC%83%81%EB%8C%80%EC%A3%BC%EC%9D%98%EC%A0%81%20%EC%9E%85%EC%9E%A5)_hwp_05.gif)
%20%EB%AC%B8%EC%A0%9C%EC%97%90%20%EA%B4%80%ED%95%9C%20%EB%82%98%EC%9D%98%20%EC%83%9D%EA%B0%81%20(%EB%AC%B8%ED%99%94%20%EC%83%81%EB%8C%80%EC%A3%BC%EC%9D%98%EC%A0%81%20%EC%9E%85%EC%9E%A5)_hwp_06.gif)
Download : 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 (문화 상대주의적 입장).hwp( 35 )
,인문사회,레포트
보신탕
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을 文化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說明(설명) 하고 있다. 한 예로 청말의 이홍장은 개고기를 매우 즐겨했던 것으로 전해진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따 그리고 <주역>과 <예기>의 곡례하편, 월령편에서는 천자가 먹고 제사에도 바쳤다는 기록이 있따
China에서는 고대 춘추전국시대로부터 명, 청대에 이르기까지 개고기는 상류층만이 향유할 수 있는 고급음식이었다. 그러나 조선조의 숭유주의는 주나라 복고주의였으므로, 당시의 China,즉 명, 청의 사정과 달리 조선에서는 개고기 요리가 크게 발달하였다.
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 (文化 상대주의적 입장)
레포트/인문사회
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을 문화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China의 신석기시대 양소, 용산 유적지, 우리나라의 김해 회현동 조개무지 등 신석기 유물에서 개의 뼈가 널리 출토되고 있으며, 고구려 안악 3호분(4세기) 벽화에 도살된 개의 모습이 양, 돼지와 함께 그려져 있따
history(역사) 적인 reference(자료)에서 최초로 개식용에 관한 언급은 China의 사마천이 쓴 <사기>에 있따 사기의 진기제 5장에는 `진덕공 2년(기원전 679년) 삼복날에 제사를 지냈는데 성내 사대문에서 개를 잡아 충재를 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