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 3상 회의에 관한 나의 생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09:54
본문
Download : 모스크바 3상 회의에 관한 나의 생각.hwp
미국과 소련은…(생략(省略))
모스크바3상회의


다. 그렇지만 국제 공약의 파기라는 비난을 면하기 위해서, 미국은 신탁통치 실시 기간의 연장이라는 카드까지 사용함으로써 신탁통치에 집착한다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것을 strategy으로 삼고 행동했다는 사실이 나를 분개하게 만들었다. 서로의 의도를 간파한 미국과 소련이 자국에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사항이 들어있는 모스크바 결정서에 쉽게 합의를 볼 수 있게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 것이다. 하지만 여러번의 회의를 거치는 동안, 그리고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그 본질이 바뀌었던 것이다. 미국과 소련 양자는 서로의 의도를 충분히 꿰뚫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소련은 임시政府(정부) 수립이라는 명분에 치중하는 strategy을 구사함으로써 신탁통치를 실시하지 않고 현실을 유지하려는 그들의 의도를 은폐시킨 것이다.
신탁통치에 대한 우리의 심정적 반발은 어쩌면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었다. 나는 모스크바 3상 회의는 분할, 점령을 합리화 내지 은폐하기 위한 미국과 소련 간의 타협의 산물이라고 conclusion(결론)맺고 싶다. 은밀하고 깊숙한 곳에서 ‘새로운 식민상태’에 관한 소문이 퍼지기 처음 했다.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을 발표한 것이다.
레포트/경영경제
모스크바 3상 회의에 관한 나의 생각모스크바3상회의 , 모스크바 3상 회의에 관한 나의 생각경영경제레포트 ,
모스크바 3상 회의에 관한 나의 생각
설명
모스크바 3상 회의에 관한 나의 생각
순서
Download : 모스크바 3상 회의에 관한 나의 생각.hwp( 25 )
,경영경제,레포트
1945년 12월 28일. 거리에 사람들의 손엔 신문이 있었고, 그들은 분개하고 있었다. 사실 신탁통치 그 槪念만 들었을 때는 우리 조선의 입장에선 상당히 환영받을 제도라고 생각했었다. 필리핀도 이러한 신탁통치를 받은 적 있다고 배웠다. 온갖 고초를 겪고 해방을 이룬 민족에게 다시 강대국의 식민지나 다름없는 신탁통치를 받으라니, 그걸 아무런 반발없이 받아들일 사람이 어디있겠는가. 이와 같이 한반도의 정치상황을 혼란 속에 빠뜨린 신탁통치안은 미국과 소련에게 있어서는 단지 하나의 선택사항에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신탁통치? 세계 열강들이 약소국들로 하여금 정치, 경제 능력을 기르도록 지원하여 궁극적으로 독립국가를 영위토록 한다는 것으로,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한다. 미국과 소련은 각기 점령을 통해 얻은 기득권 때문에 굳이 신탁통치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