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의 사명 순수냐 참여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5 17:10
본문
Download : 예술가의 사명 순수냐 참여냐.hwp
그와 동시에 문학작품은 무엇보다도 먼저 예술품으로서 성공한 것이어야 한다.
1931년으로부터 1942년 일제에 의한 우리 어문 말소 때까지 있었던 순수문학이나 순수시의 뜻은 다분히 반사회주의적인 열성에서 생긴 것이다.
그러면 먼저 사회주의 시운동은 어떠한 것이었는가를 살펴봅시다. 러시아 혁명을 이끈 지도자 레닌은 권력을 장악한 직후 수세기 동안 차르의 전제적 지배하에 신음하던 소수 민족들에게 즉각적인 독립을 선포했습니다. 첫째로 순수시의 출현은 반사회주의적 열성에 기인한다는 것, 둘째, 1925년에서 1934년에 진행된 사회주의 시운동, 흔히 프로문학 계열에서 생산해 낸 작품들이 조잡하였다는 것, 셋째, 문학은 사상의 통제를 받을 수 없다는 것, 넷째, 문학작품은 무엇보다도 예술품으로서 성공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925년으로부터 1934년에 이르는 사회주의 시운동이 빚어낸 무모한 횡포와 조잡안가한 예술품으로서의 가치에 아연한 시인들이 이에 반기를 들고 시의 본연의 자세와 권한을 돌이키는 데서 쓰기 처음 한 것이다.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다. 지금은 歷史(역사)의 운동이 바뀌어 사회주의 진영이 자본주의 진영에게 패배한 것으로 귀결되고 …(skip)
예술가의 사명 순수냐 참여냐?
순수의 고발 다음은 우리가 잘 아는 서정주 씨의 진술입니다.
--서정주 `한국의 현대시`
여기에서 서정주 씨는 네 가지 사항을 말하고 있습니다. 서정주 씨의 견해에 따르면 `참여 대 순수`의 대립은 참여 측의 오류에서 처음 된 것으로 보입니다. 교과서에서는 3.1운동이 미 대통령 윌슨의 민족 자결 선언의 자극을 받아 일어난 것으로 기술하여 왔으나, 3.1운동을 이끈 지식인들에게 결정적인 자극을 주었던 것은 1917년 10월의 러시아 혁명이었습니다.






설명
순수의 고발
다음은 우리가 잘 아는 서정주 씨의 진술입니다. 문학은 사회주의 사상뿐 아니라 어떤 한 사상의 단독 통제도 받을 수 없는 것이다. 1931년으로부터 1942년 일제에 의한 우리 어문 말소 때까지 ... , 예술가의 사명 순수냐 참여냐?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예술가의 사명 순수냐 참여냐.hwp( 92 )
1931년으로부터 1942년 일제에 의한 우리 어문 말소 때까지 ...
순수의 고발
,사범교육,레포트
다음은 우리가 잘 아는 서정주 씨의 진술입니다.
1919년 3.1운동은 조선의 독립운동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 민족사적 계기였습니다.
첫째와 둘째는 순수문학의 歷史(역사)적 배경을 언급한 것이고 셋째와 넷째는 순수문학의 입장을 밝힌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