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운사지 석조비로사나불좌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7 05:32
본문
Download : 용운사지 석조비로사나불좌상.hwp
탑신부는 신·개 각 1석씩으로 조성하였다. 각층 옥신에 내우주를 각출하였고, 1층 옥신에 비해 2·3층 옥신은 1/4 정도로 체감되어 안정감을 보인다. 옥개석 윗면에는 2단의 각형 받침으로 그 위의 옥신을 받고 있다 상륜부에는 찰주공이 있고 노반과 복발·보륜이 남아 있다
이 탑에서 주목되는 것은 갑석 위에 끼워진 연화별석의 괴임석으로 이러한 예는 고려시대에 이르러 전대보다 유행된 것이다.
<출처>
∙ 문화공보부 문화재 관리국, ꡔ문화유적총람ꡕ, 1977.
∙ 정영호, 「횡성압곡리의 탑·불」,ꡔ고고미술ꡕ 55,
∙ 강원도, ꡔ강원문화재대관-강원도 지정편ꡕ, 1993.
∙ 단국대학교 박물관, ꡔ중원문화권 유적 정밀조사보고서-원주시, 원성군Ʈ…(To be continued )
설명
Download : 용운사지 석조비로사나불좌상.hwp( 76 )
용운사지석조비로사나불좌상등에대한說明(설명) [1].






다.
탑은 단층기단으로 하대중석에는 탱주 1주가 각출되었고 하대갑석 윗면에는 2단의 괴임을 두어 상대중석을 받고 있다 상대중석은 4매로 구성되었고 중앙에는 탱주 1주가 있다 상대갑석에는 부연이 없고 윗면에 낮은 2단과 높은 1단의 괴임을 두었으며 그 위에 다시 앙련을 조각한 별석을 두어 초층의 탑신을 받고 있다 별석은 두께 15cm, 1변 72.5cm의 방형에 16판의 앙련을 돌렸는데 그 연판 조각이 풍려하다.순서
,예체능,레포트
레포트/예체능
용운사지석조비로사나불좌상등에대한설명[1]. , 용운사지 석조비로사나불좌상예체능레포트 ,
용운사지 석조비로사나불좌상
◎ 용운사지 석조비로사나불좌상
◎ 용운사지 삼층석탑
◎ 전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부석관
◎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비신)
◎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귀부 및 수
◎ 흥법사지 삼층석탑
◎ 흥법사지
◎ 상원사 대웅전
◎ 상원사 삼층석탑
◎ 상원사 광배
◎ 상원사 중수비(목비)
◎ 황둔리 석탑지
◎ 용암리 석탑지
◎ 법천사지 지광국사현묘탑비
◎ 지광국사현묘탑
◎ 법천사지 당간지주
◎ 법천사지
◎ 법천사지 석조물부재
◎ 거돈사지 원공국사승묘탑비
◎원공국사승묘탑
◎ 거돈사지
◎ 거돈사지 삼층석탑
◎ 금대리 사지
◎ 귀래리 석탑재
◎ 주포리 마애여래좌상
◎ 황산사지
◎ 동화사지
◎ 념불암지
◎ 비두리 귀부 및 이수
◎ 매지리 석조보살입상
◎ 약사암지
◎ 구용사 대웅전
◎ 구룡사 보광루
◎ 구룡사 심검당·설선당
◎ 구룡사 부도군
◎ 교항리 석조불두
◎ 교항리마애좌상
◎ 평장리 미륵불
◎ 평장리 석탑
◎ 립석사 마애여래좌상
◎ 입석사 석탑
◎ 부흥사지 석탑재
◎ 수암리 석탑재
◎ 각림사지
◎ 영조원조사
◎ 용운사지 삼층석탑
지정번호 : 유형문화재 제43호
소 유 자 : 국 유
소 재 지 : 원주군 호저면 용곡리 120
규 모 : 총고 4.8m
재 료 : 화강암
시 대 : 고려시대
지정일자 : 1973년 7월 31일
상용곡 부락 밭 가운데 석탑과 석불이 남향하여 일선상에 남아 있는데, ‘용운사’라는 명문와당이 출토되어 사찰명이 알려지게 되었다. 옥개석은 받침이 4단이며 네 귀퉁이의 전각에는 풍경을 달았던 소공이 있다 낙수면은 평박하며 추녀는 직선을 이루다가 전각에서 살짝 반전되어 경쾌한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