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현장, 테크노파크를 찾아서](10)포항테크노파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5:40
본문
Download : 20061011-.jpg
[혁신현장, 테크노파크를 찾아서](10)포항테크노파크
[혁신현장, 테크노파크를 찾아서](10)포항테크노파크
아울러 property(특성)화와 전文化로 승부를 건다는 전략(strategy)이다. 특히 포항과 울산, 경남, 부산TP 등과 초광역 클러스터교류회를 구축, 동해권 부품소재클러스터 협의회를 결성한다는 계획이다.
다. 우선 제2벤처동의 경우 차세대 멤스(MEMS) 가속도센서, 바이오센서 등 센서와 소재산업의 연구개발 및 생산거점으로 중점 육성하고, 내년에 준공될 제3벤처동은 수소연료전지·태양광·태양열·풍력 등 에너지산업의 허브로 특화하기로 했다.
오는 2008년 말까지 포항시 남구 지곡동 일대 5만6600여평에 사업비 812억원을 투입, 각종 인프라를 갖추고 foundation보육·연구개발·교육·기업지원·지역혁신체제구축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따
Download : 20061011-.jpg( 71 )
소재 중심의 지역산업플랫폼 구축도 주요한 발전전략(strategy)이다.’
레포트 > 기타





포항TP의 향후 중장기 발전전략(strategy)은 크게 6개로 구분된다 우선 지역혁신네트워크 구축 및 강화사업이다. 포항TP는 앞으로 산·학·연 연계 운영기관 지역협의회, 포항바이오밸리협의회, 로봇산업육성 산학연협의회, 진공기술연구교류회 등 기술연구교류회를 대폭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포항TP는 철강 신소재와 나노전자소재, 바이오 의료소재, 에너지소재, 지능로봇 소재 등 첨단소재산업 중심의 산업클러스터를 구축, 소재를 포항산업클러스터 브랜드로 육성할 방침이다.
‘세계 일류를 지향하는 환동해권 혁신거점기관으로 거듭난다.
[혁신현장, 테크노파크를 찾아서](10)포항테크노파크
지난 2000년 12월 산업자원부로부터 산업기술단지 사업시행자로 지정된 포항테크노파크(원장 이성재 http://www.pohangtp.org)는 포스코 등 지역의 19개 민간기업이 출연한 지역밀착형 테크노파크(TP)다. 현재 전국의 16개 TP 가운데 유일하게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자력성장형 TP다.
[혁신현장, 테크노파크를 찾아서](10)포항테크노파크
설명
그동안 54개의 기술혁신형 기업(IT 11개사, BT 5개사, 첨단부품소재 16개사, 메카트로닉스 20개사, 기타 2개사)을 육성해온 포항TP는 지난해 이들 기업을 통해 142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올해는 약 180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따 이 같은 실적을 기반으로 포항TP는 올해 산자부 평가 최우수 등급을 받는 등 3년 연속 최우수 점수를 받았다.
순서
하드웨어(HW)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포항TP는 지난 2002년 말 TP본부동과 벤처동을 준공한 데 이어 지난해 3월과 9월에 지원시설 및 제2벤처동, 숙소동을 준공했으며 내년 9월께면 제3벤처동과 제2숙소동도 완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