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17:08
본문
Download :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hwp
그러나 주술적인 노래를 문학이라고 보는 데는 문제가 있다 문학이라면 예술성을 가지는데, 주술적인 것이 어째서 예술적일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바로 문제이다. 굿은 일정한 목적을 가진다. 무당은 그 목적을 이루는 수단으로 노래, 춤, 그리고 작두 위에서 뛴다든가 하는 등의 곡예적인 놀이 등을 하는데, 이러한 수단으로 그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주술적인 사고 방식이며, 무당이 하는 노래, 춤, 곡예적인 놀이 들이 모두 주술적인 것이다. 농사가 잘 되게 한다든가, 고기가 많이 잡히게 한다든가, 병을 물리치고 집안의 재앙을 막는다든가, 돈을 많이 벌게 한다든가, 하는 등의 목적이 있으며 목적이 없는 굿은 찾아보기 어렵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무가97 ,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인문사회레포트 ,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설명
Ⅰ. 무가는 문학인가?
무가는 무당이 굿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 문제는 무가가 지닌 주술성과 예술성의 관계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1. 무가의 주술성과 예술성
주술성과 예술성의
강약 관계실제의 예㉮주술성 속에
예술성이 비교적
적은 무가명태치기 배는 병태도 많이 잡고
잇까 배는 잇까도 많이 잡아주고
대명태야 소명태야 대잇까야 소잇까야
대고등어 소고등어 대수치 소수치
그 담에는야 대광어 소광어 대문어 소문어
울고간가 우래기 골고간다 골래기
삼치 얼기 모두 다
대청아 소청아 대숭어 소숭어
대모 대도미 소도미 모두 잡을지라도
날치 갈치 수치 물치 온갖 고기 다 잘드라도
고기란 고기는 이 군안으로 다 점지하야
니집 내집 물론하고 집집마다
고기도 풍년을 시켜주고
(최정여·서대석, 《동해안무가》 p.168 지신굿)㉯주술성 속에
예술성이 비교적
많은 무가내 딸이야 내 딸이야 두우 두두 내 딸이야
하늘에서 뚝 떨어졌나 땅에 불끈 솟았드냐
어디를 갔다가 예 왔느냐 두우 두두 내 딸이야
죽으라고 버렷디마는 십오년만에 병든…(drop)
Download :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hwp( 86 )
,인문사회,레포트
무가97
다.
여기서 우리가 다루어야 할 것은 이 가운데 노래인데, 노래 역시 주술적인 것이다. 이와 같이 주술적인 노래를 무가라고 부르고, 문학이라고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