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 > metric1 | metric.or.kr report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 > metric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1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15:26

본문




Download :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ppt





본 자료는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을 일본시장 중심으로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나. 단관개봉 후 확대개봉
- 초반의 홍보비 등에 대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책으로 처음부터 단관개봉
이후의 확대를 기대하고 준비를 해두는 경우도 있다 한국영화의 경우 <집으로>,
<엽기적인 그녀>가 여기에 해당된다 <집으로>는 감동을 주는 영화의 매력이
중장년층의 고정관객을 가진 극장성격과 부합하여 흥행에 성공한 점,
<엽기적인 그녀>는 한국여배우 스타 만들기 등 다양한 감각의 marketing 접근을
시도한 것이 日本 의 젊은 층에 받아들여졌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한국영화의세계진출 ,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경영경제레포트 ,
다.

ㅇ marketing 과정
- 단관 확대 방식을 배급방식을 선택한 아뮤즈는
배우의 인지도 상승을 marketing strategy의 point으로 보고,
배우 ‘전지현’을 日本 언론에 알리는데 주력.
아뮤즈 소속 탤런…(생략(省略))




Download :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ppt( 28 )




,경영경제,레포트


한국영화의세계진출
설명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


순서

한국%20영화의%20세계진출_ppt_01.gif 한국%20영화의%20세계진출_ppt_02.gif 한국%20영화의%20세계진출_ppt_03.gif 한국%20영화의%20세계진출_ppt_04.gif 한국%20영화의%20세계진출_ppt_05.gif 한국%20영화의%20세계진출_ppt_06.gif
레포트/경영경제

본 는 한국 영화의 세계진출을 일본시장 중심으로 정리(arrangement)한 보고서입니다.




한국영화의 해외진출 동향
日本 영화시장의 시장규모와 특성(特性)
1. 시장규모와 특성(特性)
2. 극장배급
日本 에서의 한국영화
1. 수출
2. 개봉
3. 개별事例
4. 성공요인
結論(결론)



3. 개별事例
日本 의 영화배급 방식은 아주 복잡하고 다양한데 100개 이상의 스크린에서 동시에
개봉되는 광역(체인)개봉을 하는 日本 영화가 일년에 30여 편이며 10억엔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리는 日本 극영화가 10여편임을 고려할 때, 한국영화가 체인공개를
하여 성공한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가. 단관개봉
- 1999년 10월 2일에 개봉된 <8월의 크리스마스>를 스타트으로
<미술관 옆 동물원>, <초록 물고기>, <거짓말> 등이
도쿄 1-2개관 규모로 단관개봉.
<봄날은 간다> 2002년 6월 도쿄 분카무라 루 단관극장에서 개봉.
<챔피언>2003년 7월, 도쿄 1관 정도의 규모로 개봉
2004년 2월, <나쁜 남자>가 신주쿠에서 단관 개봉, <오아시스> 등도
2004년 3월에 분카무라에서, <중독>, <수취인 불명> 등도 2004년 5월에 단관개봉
- 단관공개의 흥행을 좌우하는 것은 극장으로 미니씨어터는 극장 성격에 따라
젊은층이 자주 찾는 극장과 중장년층이 주 고객인 극장 등의 구분이 비교적
뚜렷한 편이다.
전체 30,13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