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냐 존재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12:41본문
Download : 소유냐 존재냐_2037469.hwp
”
이런 종류의 재산을 ‘사유재산’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그것을 소유하는 사람 혹은 사람들만이 그 주인이며, 그들은 그것을 사용하거나 즐기는 권리를 타인으로부터 빼앗을 완전한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유재산 외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따 ‘자기창도’재산, 이것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노력의 결과이다. 가령 재산을 갖지 않은 사람들일지라도 ‘무엇인가’소유하고 있으며, 이 보잘것없는 소유물을 자본의 소유자가 그들의 재산을 소중히 하듯이 소중히 다룬다.[철학]소유냐존재냐 , 소유냐 존재냐예체능레포트 ,
[철학]소유냐존재냐
소유냐 존재냐
우리는 사유재산, 이익 그리고 힘을 생활의 기둥으로 삼고 그것들에 의존하고 있는 사회에 살고 있으므로 판단이 극도로 치우쳐있따 소유가 재산 소유자에게 어떤 의무를 지우느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은 재산을 취득하고 지킨다는 그들의 정열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처리할 수 있을 것인가? 또 그들은 내세울 만한 재산이 없는데 어떻게 재산 소유자와 같은 기분을 맛볼 수 있을 것인가?
물론 분명한 대답은 이런 것이다.
산업사회에 있어서 그 규범은 재산을 취득하고 그것을 지키고 그것을 늘리겠다는, 즉 이익을 올리겠다는 소망이며 재산을 소유하는 사람들은 뛰어난 존재로 찬양을 받고 선망의 대산이 된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본과 자본재(資本財)라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재산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어려운 문제가 생긴다.
레포트/예체능
Download : 소유냐 존재냐_2037469.hwp( 11 )






순서
우리는 사유재산, 이익 그리고 힘을 생활의 기둥으로 삼고 그것들에 의존하고 있는 사회에 살고 있으므로 판단이 극도로 치우쳐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공유재산’, 이것은 이스라엘의 키부츠처럼 하나의 집단이 공동유대의 정신으로 공유한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내가 내 재산을 어디서 어떻게 벌었느냐, 또 내가 그 재산을 어떻게 쓰느냐 하는 것은 나 자신의 문제일 뿐 어느 누구도 상관할 바가 아닌것이다 . 내가 법을 어기지 않는 한, 내 권리는 제한 받지 않으며 절대적이다.
우리는 사유재산, 이익 그리고 힘을 생활의 기둥으로 삼고 그것들에 의존하고 있는 사회에 살고 있으므로 판단이 극도로 치우쳐있다. 소유가 재산 소유자에게 어떤 의무를 지우느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게다가 많은 재산의 소유자들처럼 가난한 사람들도 그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을 보존하고 그것을 조금이…(To be continued )
,예체능,레포트
설명
다. ‘한정’재산, 이것은 동포를 원조하는 의무에 이해 한정되어 있따 ‘기능적’혹은 ‘개인적’재산, 이것은 일의 도구 혹은 즐거움의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소유가 재산 소유자에게 어떤 의무를 지우느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