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방재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1 02:42본문
Download : 도시방재에 관한 연구.hwp
도시방재관련 槪念 정립
3. 일본의 국토방재체계와 도시방재
가. 재해대책관련법률
나. 방재관련조직
다. 방재도시만들기 계획
라. 방재도시만들기 사업
마. 도시레벨 방재도시만들기 운영의 시사점
5. 결 론
1.1. 연구의 배경 및 피료썽
1.1.1. 빈번한 도시재해와 피해규모의 확대
작년 9월 중순의 남해안 지역을 강타한 태풍 “매미”와 2월 18일의 대구 지하철 중앙로역에서 방화에 의해 발생한 화재, 그리고 2002년 8월 말의 태풍 “루사”등 최근들어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재해는 우리나라가 얼마나 재해에 취약한가를 보여주고, 또한 재해대책이 불충분할 경우 피해규모가 더욱 확대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밖에도 우리나라는 본래 하절기에 연 강수량의 3분의 2이상이 집중하고 열대지방에서 주기적으로 호우를 동반하는 태풍이 북상하는 기상학적 property(특성) 등으로 인해 해마다 집중호우나 태풍에 의한 물난리를 겪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풍수재해나 화재 이외에 아직까지 큰 피해는 없었으나 지진안전지대라는 주장과 달리 최근들어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지진이 본격적으로 관측되기 처음 한 이후 지난 20여년간 연mean(평균) 19회정도 발생하였으나 ‘94년 25회, ’95년 29회, ‘96년 39회, ’98년 32회 등 1990년대이후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기상청, 연도별 지진발생現況)
이와 같이 도시지역의 재해는 갈수록 늘어나고 피해 또한 커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비책은 매우 소극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특히 도시의 개발 및 관리를 담당하는 도시계획분야에서 더욱 소홀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빈번하게 발생하고 피해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도시재해에 대한 방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1.1.2. 도시방재에 관한 도시계획적 대처의 보완이 필요
도시재해의 증가와 이에 따른 피해규모의 확대에 따라 최근 도시방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각종 도시방재 관련 수단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도시방재 중 도시계획측면에서의 대처수단인 방재도시만들기 분야의 경우, 도시기본계획 수립시 부문별계획으로 도시방재계획을 수립하고 이와같은 도시기본계획 수립시…(省略)
순서
도시방재에 관한 연구
Download : 도시방재에 관한 연구.hwp( 73 )
,자연과학,레포트
다.
설명
본 자료는 도시방재에 관한 연구보고서입니다.
본 資料는 도시방재에 관한 연구보고서입니다.도시방재연구 , 도시방재에 관한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레포트/자연과학
도시방재연구






1. 서 론
가. 연구의 배경 및 피료썽
나. 연구의 목적
2. 우리나라 도시재해property(특성) 및 도시방재관련theory
가. 우리나라 도시재해의 property(특성)
나. 우리나라 도시방재의 現況 및 결점
다. 방재관련계획
4. 일본의 도시레벨 방재도시만들기 운영實態
가. 방재도시만들기 조사 · 分析
나. 방재도시만들기 법 · 제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