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부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18:02본문
Download : 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부활.pptx
설명
Download : 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부활.pptx( 28 )
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부활
레포트/인문사회
_SLIDE_1_
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 부활
_SLIDE_2_
목 차
민중사학의 태동과 그 배경
민중사학의 형성과정
민중사학이 지니는 問題點
민중사학의 소멸, 새로운 민중사의 등장
새로운 민중사에 남겨진 해결해야할문제
_SLIDE_3_
1. 민중사학의 태동과 그 배경
_SLIDE_4_
민중사학이란
변혁주체로서 파악된 민중의 입장에 서서 history(역사) 를 연구하는 사학 1985.7 망원한국사연구실
민중을 주체로 한 민족해방에 복무하는 history(역사) 학 추구
지배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새로운 history(역사) 서술 추구
노동자운동의 내부에서 형성
_SLIDE_5_
민중사학이 지향하는 목표(目標)
history(역사) 변혁의 주체는 민중, 민중사학은 이 같은 민중에 의한 변혁운동에 동참하고 봉사하는 history(역사) 학
민중계급의 주관적 입장을 강력하게 내세워야 한다는 당파성, 더불어 과학성과 실천성을 강조
과학성
맑스주의에 입각하여 민중을 주체로 한 사회변혁운동을 연구 내지 추진한다는 뜻
실천성
민중운동에 봉사할 뿐 아니라 이에 직접 참여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目標)로 함
_SLIDE_6_
민중사학이 지향하는 목표(目標)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을 변증법적으로 통일시켜 파악하는 기본 전제 아래 민중이 history(역사) 발전의 주체임을 한국사회의 발전과정 속에서 theory 화
한국사회의 진정한 민주주의 실현과 조국의 자주적 통일이란 실천적 해결해야할문제에 기여할 수 있는 과학적 한국사인식의 확립
_SLIDE_7_
민중사학론의 배경
민중사학의 전사(前史) 민중적 민족사학
민중 : 1974년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에서 독재정권 아래 수탈당하는 존재로 제기
한국사 분야 근대화론을 비판하고 통일을 지향하는 민족주의론의 대두
_SLIDE_8_
민중사학론의 시대적 배경
시대적배경
1)60~70년대
4월혁명: 민중적 민족주의운동의 기점
5.16군사쿠데타에 의해서 민주화 요구가 좌절, 억제.
산업화과정에서 노동자계층이 폭발적으로 증가, 하나의 사회세력으로 형성되감.
…(skip)
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부활 , 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부활인문사회레포트 , 민중사학 전개와 소멸 부활






순서
민중사학,전개와,소멸,부활,인문사회,레포트
민중사학의 전개와 소멸,부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