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03:52
본문
Download : [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hwp
형태의 크기에 따라서 명명된 약물들도 있는데 대복피(大腹皮), 소회향(小茴香), 대계(大?), 소계(小?) 등이 있따
2) 표면색에 의한 명명
색이 붉은 것은 앞에 홍(紅), 적(赤), 단(丹), 주(朱) 등의 글자를 앞에 덧붙이는데, 홍화(紅花), 적작약(赤芍藥), 단삼(丹蔘), 주사(朱砂), 적소두(赤小豆) 등이 있따
색이 황색인 것은 황(黃)자나 금(金)자를 덧붙이는데 황금(黃芩), 황기(黃?), 황정(黃精), 금앵자(金櫻子) 등이 있따
흰색의 약물들은 백(白)자를 붙이는데, 백출(白朮), 백작약(白芍藥), 백지(白芷) 등이 있따
청색의 약물들로는 청피(靑皮), 청호(靑蒿), 청대(靑黛), 대청엽(大靑葉) 등이 있으며, 녹색의 약물은 녹두(綠豆) 등이 있따
흑색의 약물은 현삼(玄蔘), 흑지마(黑芝麻), 흑대두(黑大豆) 등이 있고, 보라색의 약물은 자초(紫草) 등이 있따
이외에도 하나의 나무에 마치 흰색과 황색의 꽃이 같이 피어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금은화(金銀花)라고 명명된 약물도 있따
홍화
단삼
자초
금은화
산조인
신이
3) 향과 맛에 의한 명명
향기에 의한 명명으로는 사향(麝香), 어성초(魚腥草), 패장초(敗醬草), 취오동(臭梧桐), 목향(木香), 곽향(藿香), 정향(丁香) 등이 있따
약물의 맛에 의해 명명된 예로는 감초(甘草), 감국(甘菊), 고삼(苦蔘), 고련자(苦?子), 산조인(酸棗仁), 세신(細辛), 신이(辛夷) 등이 있따 오미자(五味子…(省略)
레포트/의약보건
![[의학]%20한의학적%20명명%20원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20%ED%95%9C%EC%9D%98%ED%95%99%EC%A0%81%20%EB%AA%85%EB%AA%85%20%EC%9B%90%EC%B9%99_hwp_01.gif)
![[의학]%20한의학적%20명명%20원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20%ED%95%9C%EC%9D%98%ED%95%99%EC%A0%81%20%EB%AA%85%EB%AA%85%20%EC%9B%90%EC%B9%99_hwp_02.gif)
![[의학]%20한의학적%20명명%20원칙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20%ED%95%9C%EC%9D%98%ED%95%99%EC%A0%81%20%EB%AA%85%EB%AA%85%20%EC%9B%90%EC%B9%99_hwp_03.gif)
Download : [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hwp( 80 )
설명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다. , [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
[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
[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
순서
한의학적 명명 원칙
한약의 명칭은 대개 약물의 형태, 표면색, 향과 맛, 생장속성 , 약용 부위, 효능 등에 의해 명명된다
유향
백두옹
1) 형태에 따른 명명
약물의 형태에 의해 명명된 것으로 유향(乳香), 우슬(牛膝), 백두옹(白頭翁), 백합(百合), 동충하초(冬蟲夏草) 등이 있따 유향(乳香)은 수지(樹脂)가 드리워진 방울이 유두와 같고, 우슬(牛膝)은 줄기의 모양이 소의 무릎과 비슷하다.
의학,한의학적,명명,원칙,의약보건,레포트
[의학] 한의학적 명명 원칙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