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1-07 01:34
본문
Download : 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pptx
Internet게임 중독 예방에 관한 법률안(손인춘 의원 대표 발의), 제24조(과징금)의 제 1항, 「여성가족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Internet게임 관련사업자에게 매출액의 100분의 5를 곱한 금액(거래 금액이 없거나 거래 금액을 산정하기 곤란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5억원)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다.
Internet게임 중독 치유지원에 관한 법률안(손인춘 의원 대표 발의), 제12조(Internet게임중독 치유부담금의 부과)의 제 1항, 「여성가족부장관은 Internet게임 관련사업자에게 연간 매출액의 100분의 1 이하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Internet게임 중독치유부담금(이하 “부담금”이라 한다)을 부과징수할 수 있다 」의 조항이다.
현재 발의된 법안의 주요 내용
Internet게임사업자(시장 측)
법률 발의자 입장(政府(정부) 측)
1. 선정된…(省略)
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
다.」의 조항이다.






순서
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
게임중독법,통해,바라본,정부정책과,시장,논리를,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pptx( 65 )
설명
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 , 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게임중독법 통해 바라본 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
레포트/인문사회
_SLIDE_1_
게임중독법을 통해 바라본 政府(정부)정책과 시장 논리를 중심으로
_SLIDE_2_
선정한 경제정책의 개요
2. 시장경제원리 측면에서 바람직한 상황 또는 제도
3. 시장경제의 한계 및 政府(정부)의 역할 필요성(必要性)
4. 政府(정부) 개입에 따른 실패 위험성
5. 結論(결론) 및 바람직한 정책방향
목차
_SLIDE_3_
1. 선정된 경제정책의 개요
“게임 산업은 앞으로 잠재력이 큰 산업”
“게임 산업이 미래 文化산업의 성장동력으로
생각하고 앞으로 지속적인 지원을 하겠다”
[ 창조 경제의 현재 상황 ]
_SLIDE_4_
부의 외부효율로 인한 시장실패와
이를 치유하기 위한 政府(정부)의 개입이 오히려 시장실패를 더욱
악화시키는 政府(정부)실패
게임중독법
중독 예방ㆍ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신의진 의원 대표 발의)의 제14조(중독에 관한 광고의 제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중독을 예방하고 중독폐해를 방지ㆍ완화하기 위하여 중독물질 등에 대한 광고 및 판촉을 제한하는 데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