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지역 과학연구단지 R&D 허브로 부상 > metric2 | metric.or.kr report

지역 과학연구단지 R&D 허브로 부상 > metric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2

지역 과학연구단지 R&D 허브로 부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8:51

본문




Download : 080123113532_.jpg





 부지 3306㎡에 지상 2층 및 지하 1층의 본관동과 지상 1층의 별관동으로 지어질 센터는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원격 實驗실과 시제품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컨택 센터가 본관동에 들어선다. 오는 2009년 말 완공을 目標(목표)로 현재 건립중인 u플랫폼 운영센터는 오창과학연구단지 조성 사업의 핵심 인프라다.
 이곳에는 앞으로 구미디지털사이언스센터 건립, 과학기술진흥 및 연계거점 구축, 원천기술 및 핵심부품 IT소재 R&DB 구축, 기술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육성 등의 assignment를 수행할 계획이다.
 전주과학산단과 전북과학연구단지(완주산업단지)도 서서히 R&D 기관 및 업체유치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전북발전의 중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새롭게 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된 전남 영암군 대불국가산업단지 등 서남권 5개 산업단지는 올해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총 사업비 360억 원을 투입, 조선과 신소재(세라믹),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집중한다. 지난 97년 1단계로 552만㎡가 조성된 첨단산단에는 전자·전기와 신소재, 정밀 기계 분야 350여 업체가 입주해 있다. 이달 말까지 건립 기본계획이 마련되며, 이르면 오는 10월 착공에 들어간다.


레포트 > 기타

◆인터뷰­- 박재우 구미전자정보기술원장


 중점사업인 중소기업공동R&BD센터는 오는 30일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09년 10월 완공될 예정이다. 결국 부산시는 과기부에 센터 부지 위치 변경을 신청하고 지난해 10월 승인을 받아 부산과학지방산업단지 내에 센터를 마련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부산 과학연구단지
 특히 이번에 지정된 과학연구단지는 초기적 R&Denvironment(환경) 이 조성돼 있거나 산업적 인프라가 강해 R&D 접목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및 글로벌 경쟁력이 가능한 곳이 대부분이다.
 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된 지난해 1월 이후 부산시는 녹산국가산업단지 내 과학기술진흥교류센터 부지 마련에 나섰으나 적당한 용지를 찾지 못했다. 지난해 총 생산액은 3조7000여 억 원, 고용인원은 6900여 명으로 매년 비약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첨단산업단지는 광주지역의 연구·개발과 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시는 과학연구단지 조성을 통해 지역 R&D역량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TRI 등에서 개발된 원천기술을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센터에서 기술 리모델링해 기업에 이전하고, 기업들이 원하는 신규아이템을 찾아주는 역할이 기대됩니다. 과학연구단지 내 5000여 평에 강릉R&D혁신지원센터를 건립해 관련 기업 유치를 위한 비즈니스센터, 유해성 연구分析(분석)실, 과학자들을 위한 편의시설인 게스트 하우스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오는 2010년 6월 준공 예정인 이 센터에는 R&D관련 입주공간과 홍보관, 국제회의장 등이 들어선다.
 박 원장은 “국내 각 대학과 연구소의 일부 연구기능들이 최근 R&D수요자 즉 기업들이 산재한 디지털전자정보기술단지 내에 속속 둥지를 틀고 있다”며 “향후 이곳이 R&D의 핵심거점으로 자리 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구미국가산업단지 제4단지 내 구미디지털전자정보기술단지에는 구미전자정보기술원과 디지털사이언스센터 등 R&D를 지원할 수 있는 기관들의 집적화로 단지 내 중소기업 R&D역량 강화는 물론이고 지역 첨단산업의 활성화를 주도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展望(전망) 입니다.

지역 과학연구단지 R&D 허브로 부상

 박 원장은 “과학연구단지 핵심사업인 디지털사이언스센터는 핵심부품·소재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산자부 주관의 전자정보기술원은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기술 해소 및 품질신뢰성 인증 평가를 수행하도록 역할분담할 예정”이라고 설명(explanation)했다. 지자체 부담분을 합쳐 모두 350억 원이 투입된다. 총 643만3000㎡규모로 조성된 전북과학연구단지에는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첨단부품소재와 자동차부품, 신·재생 에너지 등 특화분야의 집적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를 위한 R&D센터 건립과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 신 융합기술 개발, 기업지원 종합시스템 구축 등의 사업도 추진된다.
순서
 구미과학연구단지 사업의 주관기관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의 박재우 원장(54)은 “구미산업단지가 과학연구단지 지정을 통해 생산과 R&D가 조화를 이루는 국내 최대의 디지털산업단지로 바뀌는 전환기를 맞았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또 “모바일과 디스플레이가 디지털사이언스센터의 주요 연구분야가 되겠지만 향후 차세대 신규아이템을 찾는 기업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차원에서 융통성 있는 연구가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미산업단지 제4단지 내 1만 2132㎡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로 건립예정인 구미디지털사이언스센터는 R&DB data(資料)·정보실, 기술사업화센터, 시제품 공장을 건립, 핵심부품소재기술개발지원, 애로기술지원 등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대구=정재훈기자@전자신문, jhoon@
설명
 충북은 오창과학연구단지를 IT·BT·NT 등 유비쿼터스 인프라를 갖춘 첨단 과학 연구단지로 조성중에 있다.
 과기부는 지난 2004년부터 준비해 2006년 5월 광주, 충북 오창, 전북 전주 및 완주 등 3곳을 처음 으로 지난 1월까지 모두 8곳을 과학연구단지로 지정했다.
#오창 과학연구단지
산·학·연이 한 곳에 유기적으로 연계, 협력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이 본궤도에 올라섰다.”
 박 원장은 또 “디지털사이언스센터 건립과 관련해 타지역 과학연구단지와 달리 건립부지가 이미 확보돼 있어 인프라 구축비가 적게 들고 전자정보기술원을 통해 오는 4월부터 당장 SW적인 지원사업에 돌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많다”고 설명(explanation)했다.
 최근 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된 구미국가산업단지는 국내 최대의 모바일 및 디스플레이 생산기지에 R&D기능을 추가, 최첨단 R&D허브로 거듭날 수 있는 날개를 달았다.

지역 과학연구단지 R&D 허브로 부상
#광주·전주·서남권 과학연구단지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지역 과학연구단지 R&D 허브로 부상

 강원도는 오는 2011년까지 300억 원을 투입, 강릉과학연구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연구단지 내에는 나노·모바일·바이오·메카트로닉스 등 주요분야별 특화센터와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등 R&D인프라가 탄탄해 이들과의 연계효능도 높다.
다. 과기부는 오는 2010년까지 추가로 2곳을 더 지정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정 1년을 맞은 대구과학연구단지도 성서산업단지의 기술혁신과 국제경쟁력 확보에 중심역할이 기대된다. 기계금속과 섬유 등 전통제조업 중심의 448개사가 입주해 있는 성서산업단지는 R&D를 통해 IT·MT·NT가 접목된 첨단산업클러스터로 탈바꿈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강릉 과학연구단지  


 부산의 국가과학연구단지는 강서구 송정동 녹산국가산업단지(210만 9000평)가 지정됐지만 과학연구단지의 핵심 인프라인 과학기술진흥교류센터는 우여곡절 끝에 강서구 지사동 부산과학지방산업단지 내에 설립하게 됐다.
지역 과학연구단지 R&D 허브로 부상

 지역별 테크노파크 주관(구미는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이 주관)으로 출발했기에 이들 과학연구단지에는 특화戰略산업의 R&D 활성화와 사업화 촉진, 관련산업의 집적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Download : 080123113532_.jpg( 67 )


<전국팀>


 과학연구단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에 근거해 政府가 5년간 총 150억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 별관동에는 u건강·u교육·u오피스·u로봇 등 미래 유비쿼터스 시스템, 건물 2층에는 인터넷(Internet)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지난 2004년 조성이 완료된 과학산업단지에는 현재 130여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나노융합기술과 생물·생명 분야 등 전북 지역 戰略산업의 R&D지원사업이 집중되고 있다.
전체 29,93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