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영양생화학 實驗(실험) -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와 Western Blotting > metric2 | metric.or.kr report

영양생화학 實驗(실험) -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와 Western Blotting > metric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2

영양생화학 實驗(실험) -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와 Western Blott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9:51

본문




Download : 영양생화학 실험 - SDS-PAGE에.hwp





순서

단백질을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nitrocellulose paper의 특성을 이용하여 SDS-PAGE 방법으로 분리된 단백질을 NC종이로 전기이동 시킨 다음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그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 위치, 양 등을 확인할 수 있다아

3. Western blot의 원리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와 Western Blotting SDS-PAGE로 단백질을 분리한 후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을 측정, 단백질항체이용 분석을 할 수 있다. 또한 SDS가 단백질의 구조를 파괴하게 되면서 모든 단백질에 대해 SDS가 결합하게 되면서 전하가 일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전기장에서 질량만 가지고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먼저 NC종이로 옮겨진 단백질이 더 이상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게 하기위해서 blocking 한 후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인 1차 항체를 결합시킨다. 이 때 이동하는 속도는 입자의 전하량, 크기와 모양, 용액의 pH와 점성도, 용액에 있는 다른 전해질의 농도와 이온의 세기, 지지체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2.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의 원리

1. 전기영동의 원리
SDS-PAGE로 단백질을 분리한 후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을 측정(measurement), 단백질항체이용 analysis(분석) 을 할 수 있다
영양생화학 실험,SDS-PAGE,단백질 분리,Western Blotting
pipette, 마이크로 피펫, e.p 튜브, 팁, 볼텍스기, SDS-gel, Vertical slab gel unit, comb, n-butanol, methanol, 3MM paper, blocking buffer, Ponceau, skim milk, 전기영동기, transfer장치, nitrocellulous paper, 스펀지, fillter paper, shaker, ECL 시약, flim, 랩, 알코올
먼저 NC종이로 옮겨진 단백질이 더 이상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게 하기위해서 blocking 한 후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인 1차 항체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아크릴아미드 겔은 분자를 질량에만 의존하는 분리가 가능하다. 이를 보기 위해서 2차 항체를 결합시킨 후 발광시약을 넣어 2차 항체를 발색시켜 단백질을 확인한다. pipette, 마이크로 피펫, e.p 튜브, 팁, 볼텍스기, SDS-gel, Vertical slab gel unit, comb, n-butanol, methanol, 3MM paper, blocking buffer, Ponceau, skim milk, 전기영동기, transfer장치, nitrocellulous paper, 스펀지, fillter paper, shaker, ECL 시약, flim, 랩, 알코올
영양생화학 실험 - SDS-PAGE에-3726_01.jpg 영양생화학 실험 - SDS-PAGE에-3726_02_.jpg 영양생화학 실험 - SDS-PAGE에-3726_03_.jpg 영양생화학 실험 - SDS-PAGE에-3726_04_.jpg 영양생화학 실험 - SDS-PAGE에-3726_05_.jpg






Download : 영양생화학 실험 - SDS-PAGE에.hwp( 38 )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와 Western Blotting

설명



다. 항체에 대한 단백질의 결합은 특이적이므로 강하게 붙어 있는다. 항체에 대한 단백질의 결합은 특이적이므로 강하게 붙어 있는다.

표적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항원-항체 반응으로 그 단백질을 확인하는 방법.

레포트 > 의학계열

SDS-PAGE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의 그물조직을 지지체로 사용한다.
영양생화학 實驗(실험) -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리와 Western Blotting

단백질을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nitrocellulose paper의 특성을 이용하여 SDS-PAGE 방법으로 분리된 단백질을 NC종이로 전기이동 시킨 다음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그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 위치, 양 등을 확인할 수 있다아

전기영동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입자를 양극 또는 음극쪽으로 이동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 아크릴아미드 겔을 사용하는데 서로 다른 그물조직을 가진 두 가지 아크릴아미드 겔을 포개어 층을 이루게 하고 지지체의 그물조직의 구멍의 크기는 아크릴아미드의 농도를 change(변화)시킴으로써 임의로 바꿀 수가 있다아 예를들어 상층은 덜 촘촘한 겔이어서 단백질을 농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보기 위해서 2차 항체를 결합시킨 후 발광시약을 넣어 2차 항체를 발색시켜 단백질을 확인한다.
전체 29,93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