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러 교류 10년의 성과와 展望: 정치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03:52본문
Download : 한 러 교류 10년의 성과와 전망 정치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hwp
Nezavisimaya gazeta…(drop)
Download : 한 러 교류 10년의 성과와 전망 정치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hwp( 14 )
순서
러시아는 2000년 2월에 북한과 새로운 우호조약을 체결함으로써 1990년대 중반까지 소원했던 대북한 관계를 복원시켜 남북한간의 등거리외교 노선...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러시아는 2000년 2월에 북한과 새로운 우호조약을 체결함으로써 1990년대 중반까지 소원했던 대북한 관계를 복원시켜 남북한간의 등거리외교 노선... , 한 러 교류 10년의 성과와 전망: 정치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경영경제레포트 ,
다. 푸틴의 평양방문은 2000년 4월에 발표되었는데 사실은 푸틴의 평양행이 이미 두달전에 합의되었다는 것이다. 이 보도를 뒷받침하듯, 지난 2월 이고르 이바노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평양을 방문하였으며 이 무렵 러시아측이 제공한 식량 10톤의 원조물자도 도착했다.






한 러 교류 10년의 성과와 展望: 정치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
러시아는 2000년 2월에 북한과 새로운 우호조약을 체결함으로써 1990년대 중반까지 소원했던 대북한 관계를 복원시켜 남북한간의 등거리외교 노선을 재확인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특히, 러시아의 대북한 관계improvement(개선)은 핵문제, 미사일문제 등 동북아 국제안보의 주요 이슈들이 북·미간 직접대화의 형태로 다루어져 온 구도를 깰 수 있다는 측면에서 미국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다는 效果(효과)를 노린 시도라고 볼 수 있다아 러시아의 대북한관계 improvement(개선) 노력은 푸틴 대통령이 2000년 7월 19일부터 20일간에 걸쳐 러시아 최고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함으로써 절정에 달했다. 러시아는 남한에 경사된 대한반도 외교노선을 수정하여 북한과의 관계improvement(개선)을 이룩함으로써 동북아시아에서의 자신의 발언권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아 뿐만 아니라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일정한 effect(영향) 력을 확보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한국 및 日本 과의 경제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