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행동과文化(culture) ]학습의성격과학습theory(이론)의사회文化(culture) 적배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04:13
본문
Download :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hwp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학습은 觀察이
나 독서처럼 실제로 직접 체험을 하지 않는 방법, 즉 간접적인 경험에 의해서
도 이루어질 수 있다(신유근, 1985: 96). 예를 들어, 회사에 새로 들어온 신입
사원은 선배동료가 지각을 자주 하여 상사로부터 심한 질책을 당하는 것을 보
고 지각은 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公式(공식)
적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變化(변화)는 나름대로의 한계를 지니고 있고, 또 자칫 잘못
하면 본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변질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경영자의 적극적인 개
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피로나 약물투여에 따
론 일시적인 행동變化(변화) 역시 연습이나 경험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없다. 따라서 학자에 따라서는 행동이라는 말 대신에 행동잠재력(behavior
potential)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定義(정의)를 보다 엄격히 하고 있다(Hammer
and Orang, 1978: 38). 반드시 행동 그 자체의 變化(변화)가 아니더라도 행동잠재력
의 變化(변화)를 학습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물론 조직구성원들의 행동變化(변화)가 경영자의 노력
만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것이다 . 變化(변화)는 개인 스스로의 노력이나 조직에서
의 사회화과정을 통해 비公式(공식)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이것은 행동의 바람직한 變化(변화)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나쁜 습관 · 편견 · 상동적 태도 · 현혹效果(효과)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새롭게 습득하는 것도 해당된다
일시적으로 취하는 adaptation(적응) 행동은 그것이 變化(변화)된 행동이라 할지라도 학습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없다.
첫째, 학습은 행동變化(변화)(behavior change)를 포함한다.
학습(learning)이란 定義(정의) 은 일반적으로 `반복적인 연습이나 경험에 의해 이
루어지는 비교적 영구적인 행동變化(변화)의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Robbins,
1989: 62). 이 定義(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의 핵심은 바로 행동變化(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따 즉 행동變化(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학습이라고 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가 새로운 環境(환경)에 adaptation(적응) 해 나가기 위해서는 자기의 행동을 變化(변화)
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행동變化(변화)는 근본적으로 학습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지는 것이다.
-[학습행동과文化(culture) ]학습의성격과학습theory(이론)의사회文化(culture) 적배경
Download :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hwp( 27 )
-[학습행동과 文化] 학습의 성격과 학습理論의 사회文化적 배경
학습행동과 文化
I. 학습의 성격
우리는 어떤 環境(환경) 속에서 무엇을 배우고 경험하느냐 하는 것에 큰 관심을 가
지고 있따 왜냐하면 사회인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요구되
는 `바람직한 행동`이 무엇인지를 터득하고 자기의 행동을 그러한 방향으로 변
화시켜야 할 必要性을 느끼기 때문이다 예컨대, 우리가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
생활을 하게 된다면 그 조직의 구성원이 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의 새로운
일들을 익히고 자기의 행동 또한 그에 맞게 바꿔나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강화작용이 없으면 變化(변화)된 새로운 행동이 곧 소거되어 버린다. 여기서 행동變化(변화)란
실제의 행동을 포함하여 퍼스낼리티 · 지각· 동기 · 태도 등이 變化(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학습은 반복적인 연습이나 경험에 의하여 행동의 變化(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경영자가 자신의 경험과 직
관에만 의존하여 행동變化(변화)를 주도한다면 그 또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따 따라서 경영자는 보다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하여 조직구성원들의 바람직
한 행동變化(변화)를 效果(효과)적으로 이끌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자기 자신의 과거경험에 대한 성찰과 함께 행동變化(변화)의 기본적 속성인 학습과정
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인간의 행동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학습· 變化(변화)되는가 하는 것을 說明(설명) 하는
데는 여러 가지의 관점이 있으…(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9%EC%8A%B5%ED%96%89%EB%8F%99%EA%B3%BC%EB%AC%B8%ED%99%94%5D%ED%95%99%EC%8A%B5%EC%9D%98%EC%84%B1%EA%B2%A9%EA%B3%B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EC%82%AC%ED%9A%8C%EB%AC%B8%ED%99%94%EC%A0%81%EB%B0%B0%EA%B2%BD_hwp_01.gif)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9%EC%8A%B5%ED%96%89%EB%8F%99%EA%B3%BC%EB%AC%B8%ED%99%94%5D%ED%95%99%EC%8A%B5%EC%9D%98%EC%84%B1%EA%B2%A9%EA%B3%B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EC%82%AC%ED%9A%8C%EB%AC%B8%ED%99%94%EC%A0%81%EB%B0%B0%EA%B2%BD_hwp_02.gif)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9%EC%8A%B5%ED%96%89%EB%8F%99%EA%B3%BC%EB%AC%B8%ED%99%94%5D%ED%95%99%EC%8A%B5%EC%9D%98%EC%84%B1%EA%B2%A9%EA%B3%B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EC%82%AC%ED%9A%8C%EB%AC%B8%ED%99%94%EC%A0%81%EB%B0%B0%EA%B2%BD_hwp_03.gif)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9%EC%8A%B5%ED%96%89%EB%8F%99%EA%B3%BC%EB%AC%B8%ED%99%94%5D%ED%95%99%EC%8A%B5%EC%9D%98%EC%84%B1%EA%B2%A9%EA%B3%BC%ED%95%99%EC%8A%B5%EC%9D%B4%EB%A1%A0%EC%9D%98%EC%82%AC%ED%9A%8C%EB%AC%B8%ED%99%94%EC%A0%81%EB%B0%B0%EA%B2%BD_hwp_04.gif)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학습행동과文化(culture) ]학습의성격과학습theory(이론)의사회文化(culture) 적배경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 , -[학습행동과문화]학습의성격과학습이론의사회문화적배경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학습행동과文化(culture) ]학습의성격과학습theory(이론)의사회文化(culture) 적배경
다.
기업조직에서 이와 같은 학습이 중시되고 있는 것은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을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變化(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자는 變化(변화)담당자(change agent)로서의 역
할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연적인 성숙에 의한 행동變化(변화)는 그것이 영구적인 것
이라 할지라도 학습에 의한 變化(변화)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定義(정의)를 바
탕으로 학습의 성격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넷째, 연습이나 경험을 통하여 발생한 행동變化(변화)가 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연습이나 경험을 되풀이시키는 강화작용(reinforcement)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