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대구지역 근로자의 숙련형성 實態와 과제課題 > metric3 | metric.or.kr report

대구지역 근로자의 숙련형성 實態와 과제課題 > metric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3

대구지역 근로자의 숙련형성 實態와 과제課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3:42

본문




Download : 대구지역 근로자의 숙련형성 실태와 과제.hwp




특히 중졸 비중은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정규 학교교육 이외에 기술계 학원의 비중은 대구가 1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대도시의 학교학생수 대비 학원수강생 비중, 학교원수 대비 학원 강사수 비중 역시 중위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지역 공공훈련기간 2개는 모두 산업인력관리공단 산하에 있는 것이고, 지방자치단체 산하의 공공훈련기관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면 대구지역 노동의 질은 여타지역에 비해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님을 시사해 준다.






설명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1. 지방화와 숙련형성

2. 산업구조와 인력고용 동향
1) 산업구조와 인력수급
2) 지역 노동의 질

3. 입직후 근로자의 숙련형성 reality(실태)
1) 숙련형성의 일반적 특질
2) 숙련형성 기간과 태도
3) 자동화와 숙련형성
4) 교육 및 훈련과 숙련형성
5) 직장이동과 숙련형성

4. 지역차원의 숙련형성 정책과제(problem)
1) 지역 인력수급 네트워크의 체계화
2) 직업훈련방식의 합리화
3) 중소기업의 숙련형성 유인책 강화
4) 숙련형성 내부화를 통한 고용안정

5. 맺 음 말 : 숙련형성은 지방화의 초석이다

< 참 고 문 헌 >




대구지역의 1993년 말 현재 취업자의 교육수준은 국졸이하 15.8%, 중졸 20.5%, 고졸 44.6%, 대졸이상 19.1%로서 국졸이하는 전국mean or average(평균) 23.8% 보다 낮고 나머지는 전국mean or average(평균)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 data(자료)는 학교의 규모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인구대비 초·중·고등학교 수 비중을 살펴보면 강원지역이 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도시인 서울(1.0), 인천(1.1), 부산·대구(1.3)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994년 말 현재 학교교육을 통해 축적되고 있는 인적자원의 정도를 인구대비 총학생수의 비중으로 살펴보면 광주, 대전 지역이 각각 29.7%, 29.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구지역은 25.3%로 전국 15개 시도 가운데 5번째로 나타났다. 대구지역근로자의숙련 , 대구지역 근로자의 숙련형성 실태와 과제공학기술레포트 ,
대구지역 근로자의 숙련형성 實態와 과제課題
대구지역근로자의숙련


Download : 대구지역 근로자의 숙련형성 실태와 과제.hwp( 77 )




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1995년도 2…(To be continued )


레포트/공학기술

대구지역%20근로자의%20숙련형성%20실태와%20과제_hwp_01.gif 대구지역%20근로자의%20숙련형성%20실태와%20과제_hwp_02.gif 대구지역%20근로자의%20숙련형성%20실태와%20과제_hwp_03.gif 대구지역%20근로자의%20숙련형성%20실태와%20과제_hwp_04.gif 대구지역%20근로자의%20숙련형성%20실태와%20과제_hwp_05.gif 대구지역%20근로자의%20숙련형성%20실태와%20과제_hwp_06.gif



대구 지역 산업구조와 인력고용 현황을 살펴보고 근로자 입직 후 숙련형태 실태와 과제를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다음으로 1994년 현재 formula(공식)적인 학교교육을 통해 기능인력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인구대비 공업계 고등학교 재학생 비중은 대구지역이 9.02로 가장 높고, 부산 8.40, 대전 8.45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남이 4.9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대구 지역 산업구조와 인력고용 present condition을 살펴보고 근로자 입직 후 숙련형태 實態와 과제課題를 분석한 리포트입니다.(한국노동연구원 data(자료)집 1995)
한편 대구지역의 직업훈련 기관은 1994년 현재 30개 (공공 2개, 사업내 19개, 인정 9개)로 경기 79개, 서울 78개, 경남 45개, 부산 35개, 경북 33개에 이어 여섯번째이다.
전체 30,19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