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sue engineering - 인공췌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13:44본문
Download : Tissue engineering - 인공췌장.doc
Yang 등은 micorcapsule, hollow fiber diffusion chamber, 그리고 disc-shaped diffusion chamber의 다양한 형태의 agarose hydrogel 장치를 제작하여 모양에 따른 인공췌장 기능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 결과, 비록 인공췌장의 췌장소도는 장치의 형태와는 상관없이 100일 이상 인슐린 분비능을 보였…(drop)
다.Artificialpancreas , Tissue engineering - 인공췌장공학기술레포트 ,






Artificialpancreas
Download : Tissue engineering - 인공췌장.doc( 61 )
Tissue engineering - 인공췌장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Tissue engineering - 인공췌장에 대한 글입니다. 생체복합 인공췌장의 면역reaction(반응)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표면개질 방법이 시도되었다.
Tissue engineering - 인공췌장에 대한 글입니다. Alginate/poly(L-lysine)이중층 면역분리막의 생체적합성은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PEG혹은 PVA의 표면 처리에 의하여 향상될 수 있따
면역분리막의 소재의 성질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면도 인공췌장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생체적합성은 캡슐화된 췌장소도의 reaction(반응)속도와 생존력을 결정하며,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device의 형태 막 재료, 표면의 미세구조, 그리고 이식 부위 등이 관계된다된다. 예를 들어 생체복합 인공췌장 표면에 chondroitin sulfate를 코팅하여 면역분리막의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으나 chondroitin sulfate 는 분해되므로 그 사용이 제한되었다 Sawhney등은 interfacial photopolymerization을 통하여 췌장소도 표면에 poly(ethylene glycol)(PEG)을 10-50 μm의 두께로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면역분리막을 췌장소도에 손쉽게 입힐 수 있었다 유연한 PEG사슬이 면역분리막의 표면에서 단백질 분자의 흡착을 방해하여 결국은 섬유아세포의 부착을 감소시킨다.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지금까지 사용된 여러 종류의 면역분리막 중 alginate/poly(lysine)/ alginate 막, vinyl chloride-acrylic copolymer, 그리고 polycarbonate tube등이 췌장소도의 동종 혹은 이종 이식에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이 물질들이 인공췌장으로서의 면역분리막으로서 사용되기에는 생체적합성이 아직도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