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 > metric4 | metric.or.kr report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 > metric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4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03:50

본문




Download :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hwp




이에 따라 의존 명사 ‘’의 통합 구조체가 하나의 새로운 문법 형태소로 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의미적으로도 變化(변화)를 입게 된 경우에, 그것을 재分析(분석)하는 방법으로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이끌어내게 된다면 위와 같은 다양한 의미 파악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유창돈(1961 : 293-295)에서는 ‘장소’나 ‘일반 사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허웅(1... ,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순서




Download :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hwp( 38 )


,기타,레포트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유창돈(1961 : 293-295)에서는 ‘장소’나 ‘일반 사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허웅(1975 : 288)은 ‘것, 줄, 까닭’ 등을 나타낸 것으로, 고영근(1982 : 83-84)에서도 ‘것, 줄, 까닭’을 뜻하는 것으로 보았다. 곧 본래 의존 명사로서의 뚜렷한 기능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가 어휘화나 문법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본래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특정한 형태적·통사적 구조 안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잠재되어 있던 어휘적 기능이나 통사적 기능을 새로이 수행하게 된다된다. 정재영(1996 : 30)은 ‘일반적으로 사건이나 사태를 나타내는 보문 명사’로 보고 있다아 이처럼 의존 명사 ‘’의 의미에 마주향하여 다양한 견해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의존 명사 ‘’가 갖는 의미의 추상성, ‘’ 통합 구조체의 어휘화 혹은 문법화의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서 의존 명사 ‘’가 관여하여 이루어내는 문장의 유형들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가. ‘+이­’

(1) ㄱ. 법이 제 일훔 논 디라 모로매 일후믈 인야 현 이런 로 일훔 지니<금…(To be continued )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유창돈(1961 : 293-295)에서는 ‘장소’나 ‘일반 사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허웅(1...

설명
15세기%20의존%20명사%20‘다’의%20문%20구성%20연구_hwp_01.gif 15세기%20의존%20명사%20‘다’의%20문%20구성%20연구_hwp_02.gif 15세기%20의존%20명사%20‘다’의%20문%20구성%20연구_hwp_03.gif 15세기%20의존%20명사%20‘다’의%20문%20구성%20연구_hwp_04.gif 15세기%20의존%20명사%20‘다’의%20문%20구성%20연구_hwp_05.gif 15세기%20의존%20명사%20‘다’의%20문%20구성%20연구_hwp_06.gif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



다. 이에 비해 이기문(1972 : 178-179)은 ‘통사적 기능만을 맡고 있는 형식 명사’로 설명(說明)한 바 있다아 또 최범훈(1990 : 154)은 ‘시간, 장소, 사물, 연유’ 등 여러 가지 뜻을 모두 포괄한 ‘기원 추상명사’라고 하였다.
전체 30,03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