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8:20본문
Download : [사회과학][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2).hwp
![[사회과학][한국방언학]%20전라북도%20방언의%20특징(2)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D%95%9C%EA%B5%AD%EB%B0%A9%EC%96%B8%ED%95%99%5D%20%EC%A0%84%EB%9D%BC%EB%B6%81%EB%8F%84%20%EB%B0%A9%EC%96%B8%EC%9D%98%20%ED%8A%B9%EC%A7%95(2)_hwp_01.gif)
![[사회과학][한국방언학]%20전라북도%20방언의%20특징(2)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D%95%9C%EA%B5%AD%EB%B0%A9%EC%96%B8%ED%95%99%5D%20%EC%A0%84%EB%9D%BC%EB%B6%81%EB%8F%84%20%EB%B0%A9%EC%96%B8%EC%9D%98%20%ED%8A%B9%EC%A7%95(2)_hwp_02.gif)
![[사회과학][한국방언학]%20전라북도%20방언의%20특징(2)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D%95%9C%EA%B5%AD%EB%B0%A9%EC%96%B8%ED%95%99%5D%20%EC%A0%84%EB%9D%BC%EB%B6%81%EB%8F%84%20%EB%B0%A9%EC%96%B8%EC%9D%98%20%ED%8A%B9%EC%A7%95(2)_hwp_03.gif)
![[사회과학][한국방언학]%20전라북도%20방언의%20특징(2)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D%95%9C%EA%B5%AD%EB%B0%A9%EC%96%B8%ED%95%99%5D%20%EC%A0%84%EB%9D%BC%EB%B6%81%EB%8F%84%20%EB%B0%A9%EC%96%B8%EC%9D%98%20%ED%8A%B9%EC%A7%95(2)_hwp_04.gif)
![[사회과학][한국방언학]%20전라북도%20방언의%20특징(2)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D%95%9C%EA%B5%AD%EB%B0%A9%EC%96%B8%ED%95%99%5D%20%EC%A0%84%EB%9D%BC%EB%B6%81%EB%8F%84%20%EB%B0%A9%EC%96%B8%EC%9D%98%20%ED%8A%B9%EC%A7%95(2)_hwp_05.gif)
![[사회과학][한국방언학]%20전라북도%20방언의%20특징(2)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D%95%9C%EA%B5%AD%EB%B0%A9%EC%96%B8%ED%95%99%5D%20%EC%A0%84%EB%9D%BC%EB%B6%81%EB%8F%84%20%EB%B0%A9%EC%96%B8%EC%9D%98%20%ED%8A%B9%EC%A7%95(2)_hwp_06.gif)
사회과학,한국방언학,전라북도,방언,특징,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과학][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2).hwp( 53 )
순서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1. 음운적 특징
1.1 음소목록1)자음 19개와 단모음10개, 유음 1개와 활음 2개 그리고 이중모음 9개를 가진다.
한편, 변이음의 경우, 전북의 모든 하위방언에서 ‘ㅁ(m)’과 ‘ㄴ(n)’은 고모음 ‘우’나 ‘위…(투비컨티뉴드 )
1.2 음운과정
(1) a. /밥-허고/ →[바버고](=밥과)
c. /떡꾹-허고/ →[떠꾸거고](=떡국과), /약-허고/ →[야거고](=약과,藥)
d. /죽암-서/ → [죽암써](죽암에서)
e. /시숙-이라고/ → /시쉬기라고/ → [시쉬기라고]
cf. /시숙-을/ → [시수글](시숙,媤叔:남편의 형제)
[사회과학][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사회과학][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 [사회과학][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 특징
[사회과학][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설명
다.
? 자음 : /ㅂ(p), ㅃ(p?), ㅍ(p?); ㄷ(t),ㄸ(t?),ㅌ(t?); ㅈ(?),ㅉ(??),ㅊ(??);ㄱ(k), ㄲ(k?), ㅋ(k?); ㅅ(s), ㅆ(s?); ㄹ(l); ㅁ(m), ㄴ(n), ㅇ(?), ㅎ(h), (?), /
? 단모음 : /이(i), 에(e), 애(?), 위(?), 외(?), 으(?), 어(?), 우(u), 오(o), 아(a)/
? 이중모음 : /예(je), 얘(j?), 여(y?), 야(ja), 요(jo), 유(ju), 웨(we), 왜(w?), 워(w?)/
? 활음2): /j, w/
위의 음소 목록 중에서 ‘ ’은 표준어 동사 ‘닿-(接), 찧-(搗), 싣-(載), 걷-(步)’과 ‘좋-(好)이 ‘-고, -지, -어서’와 통합할 때에 실현되는 전북방언 활용형의 analysis(분석) 에서 음소로서의 존재가 인정된다 두 부류의 활용 중 앞의 것은 ‘[닥꼬/꾸, 닫찌, 다아서],[찍꼬/꾸, 찍찌, 찌어서], [실꼬/꾸, 실:찌, 시러서], [걸:꼬/꾸, 걸:찌, 거러서]’이고 뒤의 것은 ‘[조:코/쿠, 조:치, 조아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