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공학 3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2 07:18본문
Download : 냉동공학 3장.hwp
(4) 응고점이 낮을 것 ⇒ 증발온도가 낮아지면 냉매가 응고되어 냉동efficacy를 얻을 수 없다.냉동공학 3장
설명






Download : 냉동공학 3장.hwp( 78 )
순서
냉동공학 3장 , 냉동공학 3장공학기술레포트 , 냉동공학 3장
레포트/공학기술
냉동공학,3장,공학기술,레포트
냉동공학 3장
1. 냉매란 무엇인지 說明(설명) 하시오.
- 냉매(refrigerant)란 일반적으로 냉각 작용을 일으키는 모든 물질을 의미하며, 사이클 내부를 순환하면서 저온부(증발기)에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증발하고, 고온부(응축기)에서 열을 방출하면서 응축ㆍ액화되는 작동유체를 의미한다.
2. 냉매로서 구비하여야 할 일반적인 조건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
1) 물리적 조건
(1) 증발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것 ⇒ 증발업력이 대기압보다 낮으면 장치내로 공기가 침입하기 쉽고, 공기가 침입하면 고압이 상승하고 윤활유가 산화되어 재료를 부식시키는 등 냉동장치에 나쁜 influence을 미칠 수 있따
(2) 응축압력이 낮을 것 ⇒ 응축압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냉매가 누설되기 쉽고, 토출가스 온도가 상승하여 체적 효율이 감소하고, 압력손실이 크게 된다
(3)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상당히 높을 것 ⇒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낮으면 저온의 냉각매체를 사용하지 않으면 고압으로 압축하여도 냉매증기는 응축되지 않고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한다.
(5) 증발잠열이 크고, 액체의 비열이 작을 것 ⇒ 액체의 비열이 크면 팽창밸브에서의 교축(throttling)과정으로 인해 냉매액이 냉각될 때, 액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증발하는 냉매량의 비율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증발기내에서 증발하게 될 냉매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증발기내 압력손실이 커지게 된다
(6) 비체적ㆍ점도ㆍ표면장력이 작을 것 ⇒ 비체적이 작으면 압축기 피스톤 압출량이 작아질 수 있고, 수액…(투비컨티뉴드 )
다. 따라서, 1차 냉매는 피냉각물체로부터 직접 열을 흡수하게 되며, 1차 냉매로부터 냉각된 매체(2차 냉매)가 피냉각물을 냉각할 경우, 이 때 사용된 매체가 2차 냉매이다. 일반적으로 증발 또는 응축 상변화 과정을 통하여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냉매를 1차 냉매, 상변화 과정없이 단상 상태에서 (현)열교환하는 브라인 등의 냉매를 2차 냉매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