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협약의 종료와 종료후의 근로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6 13:21본문
Download : 단체협약의 종료와 종료후의 근로관계.hwp
2. 문제점(問題點)
신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노력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무협약 상태가 발생한 경우 그 기간 동안의 개별조합원의 근로조건 및 협약당사자간의 관계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단체협약의종료와종료후의근로관계검토
설명
단체협약의 종료와 종료후의 근로관계
,법학행정,레포트
Ⅰ. 서설
Ⅱ. 단협의 종료사유
Ⅲ. 단협 종료 후의 근로관계
Ⅰ. 서설
1. 단협의 종료
단협의 종료란 일정한 사실의 발생 등에 의해 단협이 효력을 상실하는 것을 말하며, 유효기간의 만료, 협약의 해제, 당사자의 변경/소멸 등을 그 사유로 한다.
Ⅱ. 단협의 종료사유
1. 기간의 만료
1) 단협의 유효기간(제32조 제1항/제2항)
단협은 2년을 초과하는 유효기간을 정할 수 없고, 2년을 초과하는 유효기간을 정한 경우 또는 유효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유효기간은 2년이 된다
2) 자동연장조항
단협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새로운 단협이 체결되지 아니한 때에는 새로운 단협이 체결될때까지 종전 단협의 효력을 존속시키는 취지의 별도의 약정이 있…(To be continued )
Download : 단체협약의 종료와 종료후의 근로관계.hwp( 62 )
다.단체협약의종료와종료후의근로관계검토 , 단체협약의 종료와 종료후의 근로관계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단체협약의 종료사유와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순서
단체협약의 종료사유와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