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5:27본문
Download : 한글맞춤법원리.pptx
한글맞춤법의 원리
_SLIDE_4_
I. 서론
_SLIDE_5_
II. 규범의 change(변화)
1.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처음 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_SLIDE_1_
한글맞춤법의 원리
_SLIDE_2_
목차
I. 서론
II. 규범의 change(변화)
IV. 소리와 어법의 槪念
V. 표기의 실제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가되는점
VI. 표기의 정신
_SLIDE_3_
I.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한글맞춤법의 원리
_SLIDE_4_
I. 서론
_SLIDE_5_
II. 규범의 change(변화)
1.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처음 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연음이 될 경우에는
연음 되는 대로 표기하는 방식
`국문연구 의정안` 주시경 선생, 본음주의 theory(이론)에 의거 형태음소적표기(기저형 표기)법을 주창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1912)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1921)
`언문철자법` (1930)
이들은 일제의 조선총독부에서 교육용으로 정리(arrangement)한 것으로 초기에는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하였으나, 후기에는 형태주의 표기를 수용하여 전환하게 된다된다.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1958)의 총칙 제1항은 `한글맞춤법통일안`의 내용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따
3.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 (1958)
一 한글 맞춤법…(省略)






한글맞춤법원리 , 한글맞춤법원리인문사회레포트 , 한글맞춤법원리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따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훈민정음 창제
개화기
일제강점기
_SLIDE_6_
II. 규범의 change(변화)
2.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
조선어학회에서 formula적으로 당시 학자들의 opinion을 집약하여 통일안으로 내놓은 것
여기에서 제시된 원칙은 이후 남한과 북한의 맞춤법의 기간이 된다된다.
Download : 한글맞춤법원리.pptx( 38 )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원리,인문사회,레포트
한글맞춤법원리
_SLIDE_1_
한글맞춤법의 원리
_SLIDE_2_
목차
I. 서론
II. 규범의 change(변화)
IV. 소리와 어법의 槪念
V. 표기의 실제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가되는점
VI. 표기의 정신
_SLIDE_3_
I.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따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