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16:44본문
Download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hwp
이러한 예는 『박통사』에서만 두 번의 예가 보인다.)
예(66)에서는 “這一”와 결합하여 주어로 쓰였고, 예(67)에서는 “四”와 결합하여 목적어로 쓰였다. 근대china어 시기에 “着”의 독음과 자형은 그 통사적 성격에 따라 매우 여러 가지였는데 『노박』에서는 자형상으로는 “着” 하나만이 출현한다.
(66) 這一着好利害(박 48)
(이 한 수가 가장 중요하다. “着”는 『노걸대』에서는 모두 258번, 『박통사』에서는 모두 296번 출현한다. 3.2 동사로 사용된 경우
“着”가 동사로 쓰인 경우는 명사로 쓰인 경우에 비하여 수량이 많을 뿐 아니라 상황도 비교적 복잡하다. 여기서는 먼저 통사적으로 크게 구분한 다음 언어environment(환경) 과 결합하여 이들의 어법기능 및 사휘의미를 說明(설명) 하고자 한다. “着”의 통사적 성격은 『노박』에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문장 안에서의 의미 역시 대단히 풍부하고 다양하다.)
(67) 今日下雨正好下碁, 咱們下一局賭輸嬴如何, …你饒四着時纔好(박46-47)
(오늘 비가 와 바둑 두기 딱 좋으니 우리 한판 두어 승부를 가리는 것이 어떠한가, …너는 네 수를 잡아야 좋을 것이다. 가장 자주 보이는 것이 사역의 의미로 쓰이는 것이고 이외에도 “(어떤 상황을)초래하다·야기하다”, “(도구로)사용하다”, “찾다”, “장…(투비컨티뉴드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3. 着의 용법 “着”는 『노박』에서 여러 가지 통사적 성격과 풍부하고 다양한 어법의미를 드러내는데 “的”와 마찬가지로 출현빈도가 상당히 ...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
“着”는 『노박』에서 여러 가지 통사적 성격과 풍부하고 다양한 어법의미를 드러내는데 “的”와 마찬가지로 출현빈도가 상당히 ...
3. 着의 용법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hwp( 95 )
순서






3. 着의 용법
“着”는 『노박』에서 여러 가지 통사적 성격과 풍부하고 다양한 어법의미를 드러내는데 “的”와 마찬가지로 출현빈도가 상당히 높다. “着”는 또 현대china어에서 계책, 수단 등의 의미로 인신되었다.
3.1 명사로 사용된 경우
着가 명사로 쓰일 때 현대china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바둑, 장기를 둘 때의 수”의 의미로 쓰였으며 다만 현대china어에서는 兒化되었다는 점만이 다르다고 하겠다. 『노박』에서 “着”는 통사적 성격면에서 古今이 대체로 일치하여 명사, 동사, 전치사, 조사, 어기사 등의 용법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