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시련의 극복과 체제의 정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2:40
본문
Download : 고려의 시련의 극복과 체제의 정비.hwp
전시과와 녹봉제는 관직과 정원 · 품질의 반차를 확정해주게 되고, 이로써 문무양반의 경제적 토대를 상대적으로 우대해주어 중앙 집권의 실을 거두고 문치적 귀족사회의 확립에 큰 진전을 볼 수 있게 하였다.
(2) 개성부와 경기 및 귀족중심 사회
고려는 점차 왕권의 강화와 중앙…(省略)
순서
문종의 체제정비와 전성 및 법제, 경제유통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그러나 무반 대우는 크게 높여 상장군을 상서보다 위인 제 3과에 배당하였으니 특기할만한 사실이었다.
(1) 전시과의 갱정과 녹봉제
초기의 전시assignment는 시정(976)과 개정(998, 1034)을 거쳐 문종 3년(1049)에 공음전시법이 생기고 문종 30년(1076)에 전면적으로 갱정 완비됨으로써 앞으로의 기준이 확정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대상 이하 좌승까지의 향직에 상대하여도 전시가 지급된 것, 그리고 과외로 「무산계」와 「별사과」가 병설된 것이 특이한 것이다. 이 갱정전시과는 이전에 18과에 따르는 결의 차를 수정하여 제1과를 전 100결 · 시 50결로 하는 등 순서로 줄이고 시지는 15과 이하는 아예 제외하였다.
녹봉제는 전시와 병행하여 쌀을 현물로 지급하는 제도로서 태조이래 부분적으로 있었던 것이 문종 30년(1076)에 이르러 정식으로 조절 완비된 것이다. 무산계는 향리나 탐라 · 여진 족장 등과 노병 · 공장 · 악인 등을 우대하여 준 것인데 실제 지급 여부는 미심하다. 또 산직자가 배제되어 실직 위주로 된 것은 현실적인 집권화의 추세가 반영된 것이었다.한국중세사-시련의극복과체제정비 , 고려의 시련의 극복과 체제의 정비경영경제레포트 ,
1) 목종 · 현종대의 시련과 정비
2)문종의 체제정비와 전성
3)법제와 경제유통
2)문종의 체제정비와 전성
11세기 동안은 대체로 고려문화의 황금기라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문종대(1043~83) 근 40년간은 이제현의 말대로 왕의 근검과 함께 인재가 등용되고 학문이 숭상되며 정치 · 경제 · 문물 제반이 제 구실을 하여 나라가 풍족하고 밖으로는 요 · 송 등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여 태평세월이 계속되었다. 이때 후비 · 종실에서부터 문무반은 물론 권무관 · 동궁관 · 서경관 외에 서리 · 공장 등에까지 녹봉이 지급되었다.
한국중세사-시련의극복과체제정비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고려의 시련의 극복과 체제의 정비
,경영경제,레포트
다. 그 문물과 제도 일반의 정비상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Download : 고려의 시련의 극복과 체제의 정비.hwp( 56 )
문종의 체제정비와 전성 및 법제, 경제유통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