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민족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19:32본문
Download : 러시아의 민족문제.hwp
고재남 “소연방 제도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국제문제』 제22권 11호 (1991. 11)
…(투비컨티뉴드 )
순서
Download : 러시아의 민족문제.hwp( 19 )
러시아의 민족문제에 대해서 설명한 글입니다.,의약보건,레포트
Ⅰ. 서론
Ⅱ. 본론
1. 러시아 전통적 민족주의
2. 러시아 민족주의의 변천과정
1) 소비에트민족주의
2) 구소련 붕괴전후의 민족주의 변화
3) 인종적 민족주의의 등장
3. 러시아 인종주의 민족주의 등장요인
1) 소수민족의 정치적 독립
2) 경제상황의 악화
3) 강력한 정치적 리더쉽의 요구
4) 러시아 민족의 지위
4, 민족주의에 의한 갈등instance(사례)
1) 러시아인의 독립의지
ꊱ 크리미아 반도의 민족분쟁
ꊲ 몰도바의 민족 분쟁
2) 러시아로부터의 분리독립
ꊱ 중앙아시아의 민족분쟁
ꊲ 발트 3국의 민족 분쟁
ꊳ 체첸의 민족분쟁
Ⅲ. 結論(결론)
러시아의 민족주의
1) 소비에트 민족주의
구소련은 전세계지역 면적의 1/6을 차지하면서 128개의 다민족에 약 3억의 인구가 15개의 공화국, 20여개의 자치 공화국, 8개의 자치주 및 10개의 자치관구에 나뉘어 살고 있다 인구 구성비를 볼 때 러시아 민족이 약 51%를 차지하였고, 우크라이나인과 백러시아인이 각각 15%, 4%를 차지하여 슬라브계 민족이 실질적으로 약 70% 이상을 차지하면서 12개 주요 민족이 전체 인구의 89%를 점하고 있다 다시 말해 116개의 다른 민족들이 겨우 전체 인구의 11%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러시아의민족문제 , 러시아의 민족문제의약보건레포트 ,
러시아의 민족문제에 대상으로하여 설명(說明)한 글입니다. 그는 10년 후에 쓴 「민족문제에 관한 테제」에서도 군주제 타도를 위한 혁명적 투쟁에서 모든 민족의 프롤레타리아계급의 단합을 지지하면서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당원들에게 “각 민족은 분리 독립 문제를 주어진 영역에 거주하는 국민이 보통, 직접,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비밀투표를 통해서 해결하는 방법을 주장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레닌은 국민투표를 통한 ‘자결주의’의 실현을 강조하면서, 초기에는 연방제에 관련되어 부정적이었으나 10월 혁명 후에는 다민족국가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는 인식의 전환을 하였다.
설명






러시아의 민족문제
러시아의민족문제
레포트/의약보건
다. 레닌을 비롯한 볼세비키는 마르크스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라는 구호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원칙적으로 신봉하면서도 『민족자결주의』를 1898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창당 때 결의안으로 채택하였고, 1903년 제 2차 당 대회에서는 당헌의 일부로 포함하였다. 1917년 10월 혁명으로 정권을 장악한 볼세비키 지도자들에게 민족문제는 러시아혁명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였다. 이러한 소련의 다민족성은 약 5백년전 이반 3세부터 스탈린때까지 계속된 러시아와 소련의 팽창주의 정책의 결과이다. 그러나 레닌은 『민족자결주의』 원칙을 방어하면서도 모든 민족의 노동자 계급의 단합을 더 중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