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 metric6 | metric.or.kr report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 metric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6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09:18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hwp






문자라는 것은 언어를 표기하는 것인데, 한자로 대표되는 표어문자는 언어를 단어 혹은 형태소 레벨의 분절(分節)로서 표기하는 것임에 대하여 표음문자는 소리 레벨의 분절로서 표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훈민정음은 상술한 어떤 종류의 문자인가 하면 언급할 여지도 없이 표음문자에 속하는데 다른 문자와는 달리…(drop)



Download :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hwp( 89 )



순서

[사회과학]%20[국문학]%20훈민정음의%20문자론적%20의의_hwp_01.gif [사회과학]%20[국문학]%20훈민정음의%20문자론적%20의의_hwp_02.gif [사회과학]%20[국문학]%20훈민정음의%20문자론적%20의의_hwp_03.gif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설명








다. 그리고 음성학, 음운론의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서 음소는 음운 자질로 analysis되게 되었는데 이러한 레벨에 해당하는 문자는 과연 존재하고 있을까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세종 대왕께서 집현전의 석학들을 모아 만드신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고대 오리엔트나 고대 페르시아의 설형 문자(楔形文字)나, Lolo 문자 등은 음절문자이고, 日本 의 가나 문자는 원칙적으로 mora 문자이며, 알파벳은 음소문자이다. 즉 창제과정은 매우 은밀하게 이루어졌음이 많은 기록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제이분절에 해당하는 음의 단위도 음절, mora, 그리고 음소의 각 레벨의 분절이 존재한다.(이 사람은 훈민정음을 세종과 집현전학자들의 공동창작이라 말하지만 여러 기록을 보면집현전학자들은 창제과정에 별다른 관여를 하지 못한것으로 파악됩니다. 흔히 한자는 표의문자(表意文字)라고 하지만 그 사회에서 정해진 음만으로 읽으므로 의미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만은 아니며 의미와 그와 결합된 소리, 즉 definition 과 청각 영상(聽覺映像)을 합한 언어 기호, 즉 단어 내지 형태소를 나타낸다.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드레 마르티네(Andr Martnet)는 인간 언어의 특징의 하나로써 이중 분절(二重分節)에 대하여 지적한 바 있지만, 표어문자는 그 제일분절(第一分節)에 해당하며 표음문자는 제이분절(第二分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겠다.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국문학 훈민정음 문자론적 의의
사회과학,국문학,훈민정음,문자론적,의의,인문사회,레포트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세계에는 수많은 문자가 있는데 언어적 기능 면에서 생각하면 표어문자(表語文字)와 표음문자(表音文字)로 나누어진다.

표음문자도 제각기의 레벨에 해당하는 음절문자, mora 문자, 음소문자로 나누어진다.
전체 30,0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