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 > metric7 | metric.or.kr report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 > metric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7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05:49

본문




Download :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hwp






4. 金亭奎의 學說
金亭奎(1962) : 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문법적 형태도 volitive form(意圖法)의 표현도 아닌것이다 . 다만 先人들이 호감을 가지는 모음을 자유롭게 삽입한 것일 뿐이다라고 주장한다. 삽입모음 ,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hwp( 13 )


레포트/인문사회

다.

삽입모음에%20관한%20이설%20조사_hwp_01.gif 삽입모음에%20관한%20이설%20조사_hwp_02.gif 삽입모음에%20관한%20이설%20조사_hwp_03.gif


,인문사회,레포트



삽입모음


설명
순서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


차 례

1. 서 론
2. 허 웅의 학설
3. 이숭녕의 학설
4. 김정규의 학설
5. 이남덕의 학설
6. 강길운의 학설
7. 김승곤의 학설
8. 이인모의 학설
9. 허웅의 1인칭 주체설 및 대상활용설
10. 이숭녕의 주어의 주관적 의도설
11. 결 론


1. 序 論
삽입모음이란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개입하는 일종의 선어말어미 ‘-오/우-’의 형태소를 말한다.

2. 許雄의 學說
許雄(1958, 1959, 1963a, 1963b, 1964, 1982, 1983) : 종결-연결어미와 결합한 ‘-오/우-’는 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활용어미이며, 전성어미의 관형사형과 결합한 것은 대상활용을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15세기 중기 구어에서는 철저하게 규칙적으로 쓰여 오다가 중간 『杜詩諺解(1632)』에 이르러 극도의 혼란상을 보이고 있따 현대 국어에서의 詩文이나 보수적 표기법에서 그 잔재를 더러 볼 수 있따 여기에서는 삽입모음에 대한 여러 학설을 그것을 주창한 학자들 별로 나누어서 살펴보겠다.

3. 李崇寧의 學說
李崇寧(1959, 1960, 1961, 1964a, 1964b) : ‘-오/우-’가 개재한 것은 주관적 판단, 또는 의도의 개입을 나타내는 volitive form(意圖法) - indicative mood(直敍法, 直說法)에 對되는 - 의 표현이다라고 주장하였다.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입니다.

5. 李男德의 學說
李男德(1970) : ‘-오/우-’가 개입한 것은 그 불개입의 直說法(indicative mood)에 對되는, 情意的 강조를 나타내는 情動法인데, ‘노라’와 같이 ‘o/u`가 개입한 것은 그 중의 主觀的 情動法으로서 1인칭 주어에 호응하며, ’놋다, 도다‘처럼 ’ot` 또는 ‘to`가 개재한 것은 客觀的 情動法으로서 2, 3인칭, 또는 非人物의 주어에 연결된다고 주장한다.

6. 姜吉云의 學說
姜吉云(1971) : 형용사는 원래 話者의 假定이 가해진 말이므로, 그 관형사형엔 ‘-오/우-’가 개입하지 않는데, 동사는 그렇…(drop)
삽입모음에 관한 이설 조사입니다.
전체 29,92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