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 > metric7 | metric.or.kr report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 > metric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7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0:50

본문




Download :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doc






앞의 예에서 공정게임에 투자하는 경우 부의 수준이 150원에서 200원으로 증가할 때의 만족도보다 100원으로 감소할 때의 불만족도가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위험회피형 투자자들은 공정게임에 150원을 투자하지 않는다.



투자자의%20위험에%20대하여_doc_01.gif 투자자의%20위험에%20대하여_doc_02.gif 투자자의%20위험에%20대하여_doc_03.gif 투자자의%20위험에%20대하여_doc_04.gif 투자자의%20위험에%20대하여_doc_05.gif 투자자의%20위험에%20대하여_doc_06.gif


투자자의위험에대한태

Download :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doc( 73 )






설명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 쓴 자료입니다.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 쓴 資料입니다. 투자자의위험에대한태 ,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경영경제레포트 ,


1. 요구 위험프리미엄의 측정(測定) 방법

투자자마다 투자위험에 대한 태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들이 요구하는 위험프리미엄도 다르다.

기대현금 = 0.5 x 200원 + 0.5 x 100원
= 150원

표준편차 = [0.5(200원 – 150원)2 + 0.5(100원 – 150원)2]1/2
= 50원

위험회피형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위험프리미엄을 측정(測定) 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To be continued )
투자자의 위험에 대하여
다.

요구 위험프리미엄은 투자자의 효용함수를 이용하여 측정(測定) 할 수 있다아 예를 들어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200원을, 뒷면이 나오면 100원을 받을 수 있는 공정게임에 150원 미만을 투자하는 사람은 위험회피형 투자자에 해당된다 일정한 부를 투자할 때 부의 증가액과 감소액이 같고, 확률이 같으며, 투자액과 일치하는 투자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게임을 공정게임(fair game)이라고 한다. 공정게임의 기대 현금과 표준편차를 계산하면 각각 다음과 같다. 투자위험에 대한 태도에 따라 투자자를 분류하면 위험회피형 투자자, 위험선호형 투자자와 위험중립형 투자자로 구분할 수 있다아 각 투자자집단의 요구 위험프리미엄을 측정(測定) 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1) 위험회피형 투자자(risk averter)

CAPM에서는 위험회피형 투자자를 합리적인 투자자로 규정하고 있다아 위험회피형 투자자는 위험자산에 투자할 때 투자위험에 상응하는 적절한 위험프리미엄을 요구하는 투자자집단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공정게임에 150원을 투자하지 않는 경우에는 150원을 확실하게 소비할 수 있으나 투자하는 경우에는 그보다 작은 100원을 소비해야 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다.
전체 29,92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