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구지가의 해석 > metric7 | metric.or.kr report

구지가의 해석 > metric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7

구지가의 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20:24

본문




Download : 구지가의 해석.hwp




황패강의 견해 을 위시한 다른 견해 들도 `거북` 이상의 큰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으며, 약간씩의 상이한 접근 방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다.

구지가의%20해석_hwp_01.gif 구지가의%20해석_hwp_02.gif 구지가의%20해석_hwp_03.gif 구지가의%20해석_hwp_04.gif 구지가의%20해석_hwp_05.gif

2.구지가에 대한 쟁점

1)[거북]과 [거북의 머리]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우선 전체의 문맥으로 보아 구지가는 다수의 무리들이 「거북」이라는 대상을 향해 말을 거는 형식, 즉 수사법으로 말하면 돈호법을 쓰고 있음이 주목된다된다.이러한 해석의 바탕에는 「거북=신령성의 현시」라는 동양의 전통적인 사유가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③ `김열규`의 견해
김열규는 `거북=희생` 이라고 파악했다. 그는 고대 Upsala의 희생의식에서 신전 숲의 이름을 지을 때 희생된 짐승이나 인간의 이름을 사용하였다는 예화를 들어 「구지봉」이라는 지명도 희생 동물 거북에서 由來하였으리라고 유추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구하구하」를「검하검하 산신(山神)아」라고 아주 새롭게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④ `정병욱`과 ‘박진태’의 견해
정병욱은 `거북=남근`이라고 파악한다.

①`박지홍`의 견해
박지홍은 비판을 가하며 새로운 해석을 하는데,[구]를 [거북]으로 보지 않고, 옛말의「거머, 가메」곧 검(神)으로 파악한다. 박진태는 그러한 `남근숭배의 상징(PHALLIC SYMBOL)` 남근 …(생략(省略))

구지가



순서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구지가의 해석.hwp( 68 )


,자연과학,레포트
구지가의 해석에 대해서구지가 , 구지가의 해석자연과학레포트 ,
구지가의 해석








구지가의 해석에 대상으로하여


다. 그렇다면 대화의 상대인 「거북」은 무엇인가, 그리고 내놓으라고 요구당한 「거북의 머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것이 우선 먼저 떠오르는 의문이다. 초기는 그저 `주술적 힘` 이나 `원시적 기원` 의 대상으로 파악하거나, `구지봉의 신령`으로 비약했다. 그리고 이 문제는 본 구지가의 가장 the gist적인 문제이다.
② `황패강`의 견해
박지홍의 논리를 비판한 황패강은「구지가」가 한토(漢土)의 시체(詩體)를 차용하여 표기한 가요라 하여 향찰설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면서, 거북은 당시 원시 사회집단이 자기 씨족의 원시로 간주하여 집단의 신으로 예배하던 토템 동물이라고 주장하였다. 덧붙여 Japan어에서도 구를 [kame]라 한다고 부연하였다.
전체 29,92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