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정기 전재민구호(구호)운동과 ‘민족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4:31본문
Download : 미군정기 전재민구호(구호)운동과 ‘민족담론’.hwp
사실 ‘동포’는 원래 혈연concept(개념)이 아니었다고 하지만 전재민이나 이재민 등의 단어에서는 느끼기 힘든 강한 혈연적 유대, 민족적 통합의 정서가 읽힌다. 그러나 가장 흔하게 사용된 것은 전재민이었다고 보이며, 특히 ‘동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EC%9A%B4%EB%8F%99%EA%B3%BC%20%E2%80%98%EB%AF%BC%EC%A1%B1%EB%8B%B4%EB%A1%A0%E2%80%99_hwp_01.gif)
%EC%9A%B4%EB%8F%99%EA%B3%BC%20%E2%80%98%EB%AF%BC%EC%A1%B1%EB%8B%B4%EB%A1%A0%E2%80%99_hwp_02.gif)
%EC%9A%B4%EB%8F%99%EA%B3%BC%20%E2%80%98%EB%AF%BC%EC%A1%B1%EB%8B%B4%EB%A1%A0%E2%80%99_hwp_03.gif)
%EC%9A%B4%EB%8F%99%EA%B3%BC%20%E2%80%98%EB%AF%BC%EC%A1%B1%EB%8B%B4%EB%A1%A0%E2%80%99_hwp_04.gif)
%EC%9A%B4%EB%8F%99%EA%B3%BC%20%E2%80%98%EB%AF%BC%EC%A1%B1%EB%8B%B4%EB%A1%A0%E2%80%99_hwp_05.gif)
%EC%9A%B4%EB%8F%99%EA%B3%BC%20%E2%80%98%EB%AF%BC%EC%A1%B1%EB%8B%B4%EB%A1%A0%E2%80%99_hwp_06.gif)
미군정기 전재민구호(구호)운동과 ‘민족담론’
순서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1. 초기 전재민구호(救護)운동과 ‘민족담론’의 통합적 기능
1) 초기 전재민구호(救護)운동의 전개
해방 후 남한의 구호대상은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제일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은 대략 250~60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 귀환 전재민 전재민(regugee)이란 concept(개념)은 세계대전에 연루된 전지구적 차원의 피해자를 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한국현대사에 있어서는 일제의 수탈정책이나 강제동원을 이유로 해외에 거주하였다가 해방 후 귀환하게 된 집단(repatriates)을 일컫는다(이연식, 앞의 논문, 1쪽). 당시 해외에서 돌아온 사람을 부르던 용어는 전재민, 전재동포, 귀환동포, 귀환민, 귀환전재동포 등 매우 다양했다. 일본에서의 귀환이 140만 명 내외, china에서 귀환한 자는 關內 10만을 합하여 대략 80만 명, 기타 지역과 월남민을 40만 명 정도로…(省略)
35-4322 , 미군정기 전재민구호(구호)운동과 ‘민족담론’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미군정기 전재민구호(구호)운동과 ‘민족담론’.hwp( 25 )
35-4322
다. ‘동포’concept(개념)의 역사(歷史)적 alteration(변화) 에 마주향하여 는 권용기, 1998 「독립신문에 나타난 ‘동포’의 검토」, 한양대 사학과 석사논문 참조.
들이었는데 사실상 이들이 구호대상의 절대다수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