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대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10:31
본문
Download : 지대론.hwp
즉,“지대는 노임과 이윤과는 다른 방법으로 상품가격의 구성에 들어간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지대는 토지소유에서 나오는 것이며 이 토지는 그 양을 임의로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지대는 일종의 독점가격이다. 이와 같은 투하자본에 대한 이윤은 차지계약경신에 있어서 지대중에 포함되지만, 이것은 본래의 지대에 대한 추가인 것이다.
지주는 이 합계한 몫 이상의 것을 차지인 에게 주질 않는다. 이 분배분을 초과하는 어떤 생산물 부분이든지 또는 동일한 의미이지만 그 생산물의 가격중 그 몫 이상의 어떠한 부분도 지주는 당연히 이것을 그 토지의 현실 사정 하에서 지불할 수 있는 최고의 가격이다. 이는 “토지생산물과 그 지대의 가치는 토지의 절대적 비옥도에 비례하고 그 상대적 비옥도에는 비례하지 않는다”라는 주장에서 보아 명확히 알 수 있다…(drop)
지대론
설명






A. Smith는 지대를 “토지의 사용에 대하여 지불되는 가격으로서 차지인이 자연적으로 현실적인 토지상태에서 지불할 수 있는 최고의 가격”이라 ...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다. 혹은 대개의 토지가 그만한 지대로써 대여되는 것이 자연적으로 지대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고 하여 지대는 토지사용에 대하여 지불되는 것이므로 토지개량을 위해 투입된 자본에 대한 이자 내지 이윤과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A. Smith는 지대를 “토지의 사용에 대하여 지불되는 가격으로서 차지인이 자연적으로 현실적인 토지상태에서 지불할 수 있는 최고의 가격”이라 ... , 지대론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지대론.hwp( 89 )
순서
A. Smith는 지대를 “토지의 사용에 대하여 지불되는 가격으로서 차지인이 자연적으로 현실적인 토지상태에서 지불할 수 있는 최고의 가격”이라 정이를 내리고 있다아 덧붙여 그는 “지주가 차지기간을 조정하는 데 있어 차지농이 종자를 사고 노임을 지불하고 가축과 기타 농업용구를 구입유지하는 자본과 부근의 농업자본의 보통이윤은 합계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소작인에게 남기지 않도록 노력한다.”에서 더욱 명백히 알 수 있다아 Smith는 지대가 토지의 비옥도와 위치에 의해 change(변화)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으나, 그는 이것들을 지대 발생의 Cause 으로는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Smith는 가치·가격론에서의 모순을 지대에서도 반복하고 있다는 점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노임과 이윤의 고저는 가격고저의 Cause 이고 지대의 고저는 그것의 결과이다. 그러나 이 몫은 역시 토지의 자연지대라고 간주해도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