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17:17
본문
Download : 동양 윤리.hwp
`
이러한 사단은 곧 인의예지(인의예지)라는 네 가지 덕(덕)의 단서로서, 성선설의 기반이 된다된다. (2)맹자
맹자(맹자. 이름은 가, B.C. 374~289)는 도덕적 행위의 근거인 인간의 윤리적 본질을 치밀하게 탐구하여 성선설(성선설)을 주장하였다. 그것은, 공자가 살았던 당시보다 더욱 혼란해진 전국 시대의 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다하여 定義(정의)를 밝힘으로써 현실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려는 맹자의 의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맹자는, 인의예지가 모든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착한 본성이며, 외부적인 환경의 影響(영향)이나 후천적인 노력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맹자가 주장한 인간의 본성은 결국 인(인)과 의(의)라는 두 가지 덕목으로 요약할 수 있다아
*“인”과 “의”
인이 따뜻하고 포용적인 사랑을 의미한다면, 의는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구분하는 사회적 定義(정의)를 말한다. 맹자는 이러한 사람이 바로 대장부(대장부)이며 대인(대인)이라고 하였다.
`사람은 모두 남에게 차마 어찌하지 못하는 착한 마음씨인 양심(불인인지심)을 가지고 있다아 그것은 남을 사랑하여 측은히 여기는 마음(측은지심),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수오지심), 서로 양보하고 공경하는 마음(사양지심), ,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시비지심) 등 네 가지 마음으로 알 수 있는데, 이것이 사단(사단)이다.
맹자는, 인간이 착한 본성을 잃지 않고 사단을 확충하여 본래의 인간성을 실현시키면, 누구나 요순과 같은 성인(성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당시의 군주들은…(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동양의덕
동양 윤리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Download : 동양 윤리.hwp( 48 )
다. 인의는 모든 인간의 내면적 본성이지만, 공자가 인을 강조한 데 비하여 맹자는 의를 더욱 강조하였다. 그러나 사람은 사사로운 혈기나 이기적인 욕심 때문에 선한 본심이 가려지기도 한다. 사람이 본심을 회복하려면 시비(시비)를 올바르게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언제나 옳은 일을 추구하여(집의), 지극히 크고 굳세며 올곧은 도덕적 기개인 호연지기(호연지기)를 잘 길러야 한다.동양의덕 , 동양 윤리인문사회레포트 ,






동양 윤리
동양 윤리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