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 > metric8 | metric.or.kr report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 > metric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8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0 03:34

본문




Download :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hwp




중장기적으로 ASEM이 개방적 다자주의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ASEM 경제협력분야의 양대 축인 무역원활화행동계획(TFAP) 및 투자촉진행동계획(IPAP) 분야에 있어서 의미있는 발전이 필요하다. 제3차 서울 정상회의는 아시아 금융위기로부터의 회복이 어느 정도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더욱이 2000년이라는 상징적인 해에 개최됨으로써 ASEM의 향후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무역원활화행동계획(TFAP)의 심화대책으로 통관·표준 및 적합성 평가·政府(정부)조달·위생 및 검역·지적재산권·기업인 이동·전자상거래·기타 무역활동 등 TFAP의 8대 우선 추진분야별로 각 회원국이 개별적이고 자발적으로 추진하는 개별…(To be continued )
ASEM

다.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ASEM은 정치·안보, 경제, 사회·文化(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양 지역간의 관계강화를 目標(목표)로 출범하였으나, ASEM의 주요 추진 동인은 경제분야의 협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ASEM 역내 회원국간의 정치적 혹은 시민 사회적인 견해 차이가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ASEM의 가장 중요한 존립근거 중의 하나인 WTO 중심의 개방적 다자무역체제에 대한 실질적인 기여도는 상당히 제한적이었다고 판단된다된다. ASEM ,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순서

Download :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hwp( 44 )



,경영경제,레포트
ASEM과%20우리의%20대응%20방향_hwp_01.gif ASEM과%20우리의%20대응%20방향_hwp_02.gif ASEM과%20우리의%20대응%20방향_hwp_03.gif ASEM과%20우리의%20대응%20방향_hwp_04.gif ASEM과%20우리의%20대응%20방향_hwp_05.gif ASEM과%20우리의%20대응%20방향_hwp_06.gif
Ⅰ. 서론

Ⅱ. 출범의 배경
1. 동아시아의 역량 강화
2. 지역주의의 확산
3. 역내교역비중의 증가

Ⅲ. ASEM의 특징
1. 천층통합 이전 단계
2. 지역간 협력기구
3. 다원적 협력
4. 비公式 성

Ⅳ. 추진의의
1. 공동의의
2. 한국의 입장에서 본 의의

Ⅴ. ASEM의 조직구조

Ⅵ. 결론
1. 아시아의 對ASEM 발전방향
2. 한국의 종합 대응전술





Ⅰ. 서론

아시아-유럽 양 지역간 회의인 ASEM(Asia-Europe Meeting)은 1996년 제1차 방콕 정상회의 이후, 각종 장관급회의와 이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하는 고위실무급회의, 후속조치를 관리하는 다양한 작업반 활동 등을 정비하며 상당한 발전을 거듭해 왔습니다.
제1차 방콕 정상회의의 의의가 ASEM의 公式 적인 출범에 있었다면, 제2차 런던 정상회의는 아시아 금융위기로 인해 ASEM 자체의 추진력에는 어느 정도 부정적인 effect(영향) 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제3차 ASEM 정상회의는 향후 10년간 ASEM의 진로를 밝혀주는 ‘아시아-유럽협력협정 2000(AECF 2000)`을 채택하고 지식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대한 ASEM 차원의 공동대응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ASEM의 발전에 중요한 초석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된다.
ASEM과 우리의 대응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전체 30,32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