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ic.or.kr 순환기 > metric8 | metric.or.kr report

순환기 > metric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ric8

순환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12:00

본문




Download : 순환기.hwp




심근세포는 그 자체가 율동적으로 수축하는데 방실결절로부터 처음 되는 방실다발의 특수심근섬유가 향도잡이(pace maker)인 동방결절의 리듬에 호응하여 심장근육이 동시에 수축하게 하고, 심장신경의 지배에 의해 신체의 움직임에 필요한 순환혈액량의 증감에 대응한다. 우심실의 근육층은 강직되어도 혈액을 완전히 배출시키지 못하여 사후응혈 postmortem clot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 심장근육층은 3층으로 나누어지고 판막기시부의 섬유성 골격에 부착하는 중복나선상배열을 하고 있따 장쪽심장막인 심외막하에는 대동맥동으로부터 분지되어 심장자체에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가지 등의 혈관, 림프관, 신경섬유, 지방조직이 있따 심장 역시 실질장기의 하나로 심장근육층에도 여러 가지 변성이 나타날 수 있따
심장은 개체가 살아있는 한 박동을 계속하여 신체의 구석구석까지 혈액을 내보낸다.레포트/자연과학
심장벽은 내층의 심내막 endocardium, 중간층의 수축 요소인 심근 myocardium, 외층의 심외막 epicardium의 3층으로 되어 있따 심내막은 혈관내막에 연속되어 내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판막이나 유두근의 힘줄끈을 형성한다. 대형동물보다 소형동물이 심박수가 많다. 심장근육에 변성이 있으면 사후강직이 일어나지 않거나 좌심실에도 다량의 혈액이 잔류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되면 좌·우심실의 심근이 연약해져 심실강내에 대량의 응혈이 고여있따 심장이 쇠약하여 죽은 경우에는 혈구와 혈장이 분리되어 좌·우심실에 닭의 지방양 응혈 chicken fat clot을 보일 때가 …(skip)


순서

,자연과학,레포트




심장벽은 내층의 심내막 endocardium, 중간층의 수축 요소인 심근 myocardium, 외층의 심외막 epicardium의 3층으로 되어... , 순환기자연과학레포트 ,



순환기_hwp_01.gif 순환기_hwp_02.gif 순환기_hwp_03.gif 순환기_hwp_04.gif 순환기_hwp_05.gif 순환기_hwp_06.gif
설명

순환기


Download : 순환기.hwp( 18 )







심장벽은 내층의 심내막 endocardium, 중간층의 수축 요소인 심근 myocardium, 외층의 심외막 epicardium의 3층으로 되어...
다.
심장근육의 강직이 골격근의 사후강직 postmortem rigidity, rigor mortis이나 큰 혈관내에서의 혈액응고 보다 먼저 처음 된다된다. 심실의 심내막아래에는 자극전도계의 특수심근섬유가 있으며 큰 동물에서는 심장근육층 내에도 분포한다. 다른 병적 요인이 없다면 근육층이 발달된 좌심실은 유동상의 혈액이 배출되어 거의 비어있게 되며 사후강직이 풀린 20∼30시간 후에도 빈 상태를 유지한다.
전체 30,32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ri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